서울시가 세계 도시들과 함께 선도적인 모델을 완성해 나가는 ‘제2회 스마트라이프위크(Smart Life Week: SLW 2025)’를 오는 9월 30일부터 10월 2일(목)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SLW 2025’는 서울시와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가 주최하고 서울AI재단이 주관하는 행사다. 올해 행사 슬로건은 ‘사람을 위한 AI, 미래를 여는 스마트시티(AI for Humanity, Smart Cities Leading Tomorrow)’다.
올해는 행사 규모를 늘렸다. 지난해 109개 도시, 147개 기업, 3만명이 참여했는데, 올해 약 2배 늘린 200개 도시, 300개 기업, 6만명 참여를 목표로 한다. 전시장 규모도 지난해(7290㎡)보다 1.7배 정도 확대(1만 2572㎡)해 더 많은 콘텐츠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오는 9월 29일에 개막하는 ‘세계대도시협의회 40주년 기념 서울 총회’와 연계해 총회에 참가하는 해외 도시 시장 및 국제기구 등 도시 관계자들도 ‘SLW 2025’에 방문할 예정이다.
SLW가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는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플랫폼으로 정착하도록 전시 콘텐츠에 약자동행 기술을 최대한 반영하고 국제 협력, 기술 검증, 시민 참여 3대 전략 추진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
‘SLW 2025’는 ‘SLW 쇼룸’ ‘서울AI로봇쇼’ 등 전시관과 컨퍼런스, 스마트도시상 시상식으로 나눈다. ‘하루를 통해 미래를 걷는다’를 콘셉트로 한 SLW 쇼룸, 서울AI로봇쇼 등 일상 속에 스며든 AI를 통해 도시의 모습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이 운영된다.
SLW 쇼룸은 아모레퍼시픽, LG유플러스, 두산로보틱스, 신한은행 등 국내 기업이 시나리오 구현에 참여해 기술 현실성과 몰입도를 높였다. 시연을 넘어 시민 참여형 체험 요소를 강화해 관람객이 구경이 아닌 살아보는 전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전시관 메인행사 중 하나로 ‘극한로봇’을 주제로 한 ‘제1회 서울AI로봇쇼’가 열린다. 기술 전시를 넘어 ▲휴머노이드 로봇 간의 스포츠대회 ▲장애물, 화재 진압 등 극한환경 극복기술 대결 경진대회 ▲일상과 접목된 다양한 로봇 체험 프로그램 및 전시 등 참여형 콘텐츠를 선보인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기업 아람코를 비롯해 IBM, 알리바바 등을 소개하는 대기업관과 딥로보틱스, MIT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관, 기후테크를 비롯한 혁신 스타트업의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주제관도 운영한다. 온라인 전시관도 별도로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 포럼에서 연사로는 IBM 총괄임원 페트라 플로리존느, 팔란티어 최고 설계책임자 악샤이 크리슈나스와미, MIT 도시과학자 카를로 라티, UCLA 교수 데니스 홍, 케임브리지 맥스웰센터 아가 바브닉, SAS 글로벌 부사장 디팍 라마나탄 등이 참여한다. 연사들은 ‘AI와 도시’ ‘로봇의 윤리와 포용’ ‘공공데이터 기반 도시정책’ ‘글로벌 거버넌스’ 등 도시와 기술의 통합 비전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기후테크 컨퍼런스’도 SLW 기간 중 함께 진행한다. 올해 컨퍼런스는 ‘모두를 위한 스마트한 기후테크’를 주제로 지속가능한 도시와 탄소중립 글로벌 의제에 기후 기술이 기여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I 시대 기후테크, 혁신기업 기술 시연 등 다채롭게 진행된다. 연사로는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정무성 현대차 정몽구 재단 이사장, 인플루언서 슈카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행사 첫날 개막식은 국내 생성형 AI 스타트업 뤼튼의 창업자 이세영 대표가 연다. 이 대표는 기조연설자로 해외 도시 시장단을 대상으로 기술과 사람, 사회적 공존에 대한 메시지를 전할 계획이다.
‘서울 스마트도시 상(Seoul Smart City Prize)’ 시상식은 9월 30일 열린다. 프로젝트 부문 16개(사람 중심 8개·기술 혁신 8개), 리더십 부문 2개, 특별상 부문 3개 등 총 21개의 상이 수여될 예정이다. 현재 세계 도시, 기관, 기업 등에서 총 220건의 응모작이 접수됐다.
SLW 시민혁신상, 청년AI해커톤 등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도 신설 운영해 누구나 도시 기술 실험자가 될 수 있도록 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SLW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서울시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전략의 중심 무대이자 세계 도시와 함께 만드는 공동의 실험장”이라며 “앞으로도 기술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CNB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