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사상 처음으로 상용근로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고용 안정성과 질적 성장을 동시에 이뤄냈다.
부산시는 17일 오전 10시 30분, 부산상공회의소 2층 상의홀에서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 달성’을 기념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지역 제조업·투자기업·고용우수기업 등 기업인 40여 명이 참석해 고용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 직후 박 시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상용근로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6만 3천 명 증가한 100만 3천 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상용근로자는 고용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안정적 일자리로, 단순한 취업자 수 증가를 넘어 고용의 질적 개선을 의미한다. 박 시장은 “전문직, 사무직, 서비스직 등 고부가가치 일자리가 증가한 것이 통계로 확인됐다”며 “부산이 이제 명실상부한 일자리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의 고용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2025년 6월 기준 ▲15세 이상 고용률은 59.0%, ▲15~64세 고용률은 68.5%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실업률은 2.6%로 6월 기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만 5천 명 증가했고, 이 중 임금근로자가 5만 1천 명 늘어난 반면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3만 6천 명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 고용은 전국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부산은 오히려 1만 2천 명이 증가해 지역 산업 기반의 회복세를 보여줬다.
부산시는 이 같은 성과가 민선 8기 이후 추진해온 산업체질 개선과 전략적 투자 유치, 산학협력 기반 인재 양성 정책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3년간 부산시는 14조 원 규모의 기업 투자를 유치했고, 올해 상반기에만 3조 원 이상의 유치 실적을 올렸다. 연말까지는 최대 8조 원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부산 디지털 혁신아카데미를 통한 ICT 고급인재 1만 명 양성,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일자리종합센터 및 청년 잡성장카페 확대 운영 등도 고용 개선에 기여했다.
박 시장은 “좋은 일자리를 기반으로 청년이 떠나는 도시가 아니라 돌아오고 머무는 도시를 만들겠다”며 “청년뿐 아니라 고령자, 경력단절 여성, 중장년층 등 취약계층도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고용정책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