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C인삼공사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 확대전략으로 TRM(Technology RoadMap)경영 체계를 통해 기술 경쟁력 강화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홍삼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고도화되는 소비자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이에 따라 KGC인삼공사가 지난 2020년부터 2024년 까지 등록한 특허는 직전 5개년(2015~2019년) 대비 약 1.8배 증가했다.
올해는 1월부터 5월까지 전년 대비 약 2.3배 늘어난 23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그중 홍삼오일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높인 2건의 특허는 구강 건강 및 피부 흡수 개선 분야에 적용됐다.
여기에 한방 원료의 품종을 구별할 수 있는 특허도 4건 등록했다. ‘마록 유래 녹용, 작약, 지황, 황정을 판별하기 위한 단일염기다형성을 갖는 유전자 마커’ 기술은 DNA 기반 식물 판별법이다. 이를 통해 원료 신뢰도를 높일 뿐 아니라, 우수한 품질의 원료를 확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KGC인삼공사가 현재까지 등록한 특허는 약 431여 개에 달한다. 인·홍삼 관련 연구 특허가 약 250건, 비인·홍삼소재 특허가 약 181건이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인삼과 홍삼의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고, 품질과 기술 차별화를 통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앞으로도 원료부터 제품까지 지재권 기반의 연구개발과 건강기능식품시장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