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정건웅 기자) “집은 안 지나가도, 우리가 밥 짓는 논밭 한가운데를 관통합니다. 이 철도가 지나가면, 우리는 먹고 살길을 잃게 됩니다”
강원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용하리~야촌리 구간은 춘천~속초를 잇는 동서고속화철도 제4공구가 지나는 지역이다. 주민들의 집과 마을 중심은 피했지만, 성토(흙을 쌓아 철로를 높이는 방식)로 설계된 철도가 마을 주민 대부분이 생계를 이어가는 경작지 한가운데를 가로지른다.
길이는 약 355m, 높이는 최대 14m에 달하는 이 흙더미는 주민들에게 단순한 구조물이 아닌, ‘우리 논과 밭, 그리고 삶을 끊는 벽’이라는 것이 주민들의 공통된 외침이다. 수십 년 농사만 지으며 살아온 이들에게, 경작지를 건너던 길 하나 막히는 일은 한 계절, 한 해 농사를 잃는 일이나 다름없다.
“비닐하우스에서 논으로 가던 작은 길 하나가 사라지면, 우리는 물도 못 대고, 트랙터도 못 들어가고, 다리가 아니라는 이유로 뿌리째 잘리는 겁니다”
용하리와 야촌리 주민들은 철도 설계 초기부터 이 같은 사정을 지속적으로 호소해왔다. 이에 양구군과 주민들은 지난 2020년부터 현재까지 국가철도공단, 기재부, 국토부 등 관계기관에 20차례 이상 성토구간의 교량화를 건의했으며, 지난해에는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민원을 제출, 800명의 서명을 담은 탄원서를 전달하고 실지조사까지 진행됐다.
하지만 철도는 여전히 경작지 한가운데를 ‘높은 흙둑’으로 관통할 계획이다. 국가철도공단은 교량화 시 추가 사업비가 소요되며, 지자체가 부담할 경우 교량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양구군과 주민들은 이 사업비를 지역이 감당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해당 구간은 단순 민원이 아닌 ‘생계 단절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양구군은 현재 교량화 타당성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통행권, 경관, 농업생산 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재검토하여 국비 지원의 타당성을 입증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수연 야촌리 이장은 “마을은 안 잘라서 괜찮다고 하지만, 논밭이 끊기면 마을도 함께 무너집니다. 우리는 도심에 살지 않습니다. 밭이 곧 생활이고, 논이 곧 생계입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