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진흥원이 신청 절차 간소화와 행정 효율성 제고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공공 마이데이터’를 지원사업에 본격 도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도입 대상은 ▲부산 청년 사회진입활동비 지원사업(디딤돌 카드+)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 포인트의 3개 사업이다.
기존에는 신청자가 복잡한 서류를 직접 준비해야 해 불편이 컸으나, 올해부터는 본인의 행정정보 제공 요구를 통해 증빙서류를 간편하게 제출하며, 심사 기간도 평균 50% 단축되는 성과가 기대된다.
‘디딤돌 카드+’,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 포인트’는 청년층의 지역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디딤돌 카드+’는 지역 미취업 청년에 사회진입 활동비를 지원해 취업 활동 여건을 개선하는데, 사업 참여자는 공공 마이데이터 연계로 기존 6종의 증빙서류 중 5종을 간편히 제출할 수 있게 되었고, 심사 기간도 6주에서 3주로 단축돼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됐다.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는 지역 중소기업 재직 청년에 복지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자격요건 확인에 필요한 4종의 서류를 공공 마이데이터로 연계함으로써 고객 중심의 디지털 행정서비스로 전환됐다.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 포인트’ 역시 공공 마이데이터 연계로 신속한 행정 처리가 기대됨에 따라 다자녀 가정의 교육비 부담을 더욱 적극적으로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이들 사업의 수혜 인원은 ▲디딤돌 카드+ 1010명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1650명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 포인트 약 12만 세대로, 올해는 절차뿐만 아니라 사업 내용 또한 고객 편의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디딤돌 카드+’의 경우 올해부터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1회 이상 참여를 의무화하여 교육기관 및 지자체와의 협력 아래 실질적 취업 지원 체계를 운영한다.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는 지원 대상을 1650명에서 2000명으로 확대, 5월 중 공개 추첨을 통해 대상자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 포인트’는 민원 응대를 위한 콜센터를 1월부터 선제적 운영, 교육 포인트 사용 가맹점도 200곳 이상 추가 확대로 실사용도를 높임으로써 복지와 지역경제를 연결하는 선순환 모델이라는 평가에 부응하고 있다.
송복철 부산경제진흥원장은 “공공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비서류 제출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 맞춤형 정책 발굴을 통해 실효성 높은 청년 지원책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