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尹의 '최후 보루' 무너지나... '대통령 경호처' 수장 사퇴 이유는?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5.04.16 11:25:07

‘尹의 남자’ 김성훈 전격 사의…사상 초유의 ‘연판장 사태’에 압박 느낀 듯

경호처 직원들 "경호처가  尹 사조직인가?"... 수뇌부 비판 연판장에 서명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8일 석방되면서 서울구치소 앞에서 경호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그 옆으로는 김성훈(오른쪽) 경호처 차장이 윤 전 대통령을 경호하며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호위무사를 자처해 논란이 된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경호처장 직무대행)이 15일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해 주목된다. 

김 차장의 사의 표명은 경호처 창설 이후 62년 만에 벌어진 수뇌부의 사퇴를 촉구하는 경호처 직원들의 ‘연판장 사태’ 이후 1주일 만이다. 윤 전 대통령 파면과 연판장 사태에 압박을 느껴 거취 정리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김 차장은 15일 전 직원을 상대로 긴급 간담회를 소집한 뒤, ”이달 내 사퇴하겠다. 지금부터 남은 기간 직무에 관여하지 않겠다”면서 전격 사퇴 사실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차장은 지난 1월 경찰이 윤 전 대통령에게 발부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하자 경호처 직원을 동원해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서 이 일로 경찰 조사를 받게 되면서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경호처는 대통령만을 위해 존재하는 대통령 사병 집단이 맞다”고 발언해 논란이 되자 곧바로 “대통령을 위해 희생하는 조직이라는 점을 설명하려던 것”이라고 사과하기도 했다.

그리고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에도 파면 등으로 임기 만료 전 퇴임한 대통령도 경호·경비와 관련된 예우는 유지된다는 대통령경호법에 따라 경호처의 경호는 유지되지만 현재 윤 전 대통령이 사저로 복귀한 이후에도 ‘경호처 수장’인 김 차장이 직접 밀착 경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러 가운데 김 차장이 사의를 표명한 직접적인 이유가 사상 초유의 경호처 ‘연판장 사태’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대통령 경호처 700여명의 직원들은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됐음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지키고 있는 김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반발해 지난 1963년 경호처 창설 이래 62년 만에 처음으로 수뇌부의 사퇴를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 직원들은 지난 9일 ‘경호 차장 등의 권한 행사 중지 청원의 건’이라는 제목의 연판장을 통해 “지금의 경호처는 사병 집단이란 조롱 섞인 오명과 함께 조직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며 “원인 제공자인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은 대통령의 신임을 등에 업고 경호처를 사조직화했으며, 직권남용 등 갖은 불법행위를 자행해 조직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병 집단’이라는 표현은 지난 1월 김 차장이 방송 인터뷰에서 “경호처는 사병 집단이 맞고 오로지 대통령만을 위해 존재하는 유일한 정부기관”이라고 말해 직원들의 반발을 샀지만 김 차장이 윤 전 대통령 파면 사흘 뒤인 지난 7일 간부급 회의인 ‘현안 점검 회의’를 직접 주재하는 등 사퇴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 경호처 내부 반발 본격적으로 터져 나왔다.

오히려 김 차장은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을 따라 거취를 정리할 생각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전직부(전직 대통령 경호부) 편성, 차기 대통령 경호팀 편성 등 조직 관리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주장해 자신을 비롯해 이 본부장, 그리고 가족부장에서 물러난 김신 과장 등 이른바 ‘강경파’들이 계속 남아 경호처 인사와 운영 등을 결정하겠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더구나 통상 경호처는 수사기관의 수사 개시 통보가 이뤄지면 직위 해제를 했으나 김 차장과 이 본부장 등은 지난 1월 초 수사기관의 수사 통보를 받고도 3개월 넘게 현 직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경호처 직원들은 “김 차장은 인사 전횡과 각종 사업 및 계약 업무 간 위법행위와 직장 내 갑질 등 혐의 및 의혹도 받고 있다”면서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지지를 받고, 김용현 전 처장의 총애를 받는 김 차장이 경호관들을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위한 각종 이벤트에 동원되면서 ‘전문경호조직’이라는 자부심을 땅에 떨어지게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게 조직의 미래를 맡길 수 없다”고 반발하며 연판장을 돌렸고, 총 700여명 중 8일 하루에만 부장·과장급 간부들은 물론, 박근혜 전 대통령 등 전직 대통령 자택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까지 동참해 3분의 1 가량인 2백여명이 서명하는 등 지금까지 500여명이 서명에 동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