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광주지역 유‧초교, 생존수영 50.3% 공공 수영장 이용 못해…'지자체 협조 외면'

  •  

cnbnews 박용덕기자 |  2025.03.27 14:32:43

광주광역시교육청 생존수영 위탁운영기관 홍보 포스터. (사진=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동구·남구, ‘생존수영 교육 지원 조례’는 제정 '참여 안 해'
유‧초등학교 50.3%는 학원 등 민간 수영장 23곳 이용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생존수영 교육을 국정과제로 삼았으나, 광주는 공공 수영장을 운영하는 지자체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상당수 유‧초등학교가 민간 수영장을 이용해 생존수영 교육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이하 교육단체)은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유‧초등학교 생존수영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7만 2,156명 교육생 중 49.7%만이 학교시설 3곳과 공공체육시설 3곳 등 공공 수영장에서 교육을 받았고, 나머지 50.3%는 학원 등 민간 수영장 23곳을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교육단체는 “광주는 공공 수영장을 운영하는 지자체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교육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런 가운데 일부 수영 학원들은 생존수영 위탁운영기관으로 홍보하는 등 유아 및 학생을 대상으로 영업을 확대하며 사교육을 부추기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동구와 남구는 ‘생존수영교육 지원 조례’를 제정하며 정책 의지를 보였지만, 실제로는 생존수영 위탁기관으로 참여하지 않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남구의 경우, 학생들이 이용하는 청소년수련관 내에 수영시설이 갖춰져 있지만, 기존 성인 이용객이 우선이라는 이유로 생존수영 교육 장소로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시교육청은 2025학년도 생존수영 위탁운영기관을 지난해보다 1곳 늘려 30곳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여전히 다수의 유·초등학교, 특수학교가 수영장 일정 잡기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전면 실시를 위해서는 광주시와 자치구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고 주장했다.

 

교육단체는 "생존수영은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 교육이다. 교육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며 "광주시교육청과 지자체가 협력해 생존수영 교육을 위한 제도적, 물리적 기반을 신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