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용보증재단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돕기 위해 부산시 기초자치단체(구·군)의 출연금 유치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다른 지역의 경우 기초자치단체가 매년 지역신용보증재단에 출연금을 지원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돕고 있으나, 부산은 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다. 2023년 강서구가 처음으로 1억 원을 출연한 데 이어 2024년에는 강서구, 동래구, 부산진구, 해운대구 등에서 총 4억 원, 2025년에는 현재까지 강서구와 부산진구에서 총 2억원을 출연했다.
부산신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적극적인 보증을 제공했지만, 경기 회복 지연과 고금리·고물가 등의 영향으로 폐업과 대출 상환 불능 사례가 증가하면서 대위변제금이 급증하고 있다. 대위변제금은 2022년 500억 원에서 2023년 1,348억 원, 2024년 2,006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이에 따른 당기순손실도 2022년 말 147억 원에서 2023년 말 487억 원, 2024년 말에는 582억원으로 확대됐다.
이에 부산신보는 올해 말까지 3396억 원의 재원을 확보해 보증 여력을 유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보증 사고 급증으로 인해 순손실 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현재 부산신보의 임의출연금(금융기관·기업체 출연금)이 총 누적 출연금의 42%를 차지해 전국 평균(33%)을 상회하는 등 임의출연금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보증재원 출연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부산신보는 기초자치단체의 출연금을 활용해 해당 지역 내 소상공인들에게 보증료 감면 혜택을 제공하는 ‘보증료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추가 출연을 통해 구·군 소상공인의 경영 지원을 위한 지역특화 보증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성동화 부산신보 이사장은 “기초자치단체의 출연금 확대를 통해 지역 소상공인의 금융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금융 지원을 이어갈 수 있도록 기초자치단체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