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기업 ‘인력난 해법’ 찾았다…60세 이상 재고용 활발

부산상의, 부산지역 고령인력 운영 실태 조사 발표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3.19 17:25:10

부산상공회의소 전경.(사진=부산상의 제공)

부산상공회의소가 19일 60세 이상 고령자를 고용하고 있는 지역기업 15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지역 고령인력 운영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24.3%가 전체 직원의 10% 이상을 60세 이상 고령자로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5% 미만이 63.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10%~20% 미만(20.4%), 5%~10% 미만(12.5%), 20% 이상(3.9%) 순이었다.

60세 이상 고령자 채용 유형으로는 소속 퇴직자의 재고용이 7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재고용과 재취업을 병행하는 기업은 21.7%, 재취업만 활용하는 기업은 3.3%에 불과했다. 재고용과 재취업을 병행하는 기업까지 포함하면 응답 기업의 96.7%가 재고용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동일 직장에서 같은 업무를 선호하는 고령자의 특성과 검증된 숙련 인력을 활용하려는 기업의 요구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기업들이 맞춤형 고령 인력을 재고용하면서 고용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고용 만족도는 10점 만점 기준 9.02점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노동생산성(8.99), 변화 적응력(8.97), 건강·체력(8.96) 등도 예상을 뛰어넘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직종별 노동생산성에서는 전문기술직 및 관련 관리직(56.6%)이 가장 높았고, 일반 사무직(51.5%), 연구직(45.0%), 생산직·현장노무직(37.1%), 서비스영업·판매직(31.8%)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고령인력 운용에 따른 애로사항에 대해 응답 기업의 78.3%가 ‘없다’고 답한 반면, 애로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48.5%는 ‘안전관리 부담’을 꼽았다. 이는 중대재해처벌법이 50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되면서, 고령자 고용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우려와 법적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업들은 고령 인력 운용을 위해 근무 환경 개선, 임금 체계 개편, 유연 근무제 도입보다는 업무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었다. 또한, 고령 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으로는 고용지원금 확대, 근로 인센티브 등 퇴직 전 임금 수준을 보전할 수 있는 현금성 지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지역의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산업현장에서 고령 인력을 활용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기업마다 고용 사정이 다른 만큼, 자율적인 재고용 제도가 확산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