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배영숙 의원(국민의힘, 부산진구4)이 17일 열린 제327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부산 갈맷길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체계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부산을 대표하는 걷기 여행길인 갈맷길은 2009년 시민 공모를 통해 이름이 정해졌으며, 2022년 걷기여행 실태조사에서 제주올레길, 해파랑길에 이어 국내 3위의 인기를 기록했다. 그러나 걷기 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배 의원은 이날 시정질문에서 갈맷길 운영의 여러 문제점을 짚었다. 먼저, 갈맷길 홈페이지와 ‘(사)걷고싶은부산’의 이원화 문제를 언급하며, 두 개의 사이트가 각각 운영되면서 정보가 일관되지 않고, 관리와 홍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두 사이트를 통합해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갈맷길의 안내 체계가 통일되지 않아 관광객과 시민들이 혼선을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안내판, 리본, 스티커 등의 디자인과 위치가 제각각이며, 방향 표식이 명확하지 않아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배 의원은 타 지역의 걷기 여행길 사례를 들며, 일관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갈맷길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중교통 안내 부족과 시종점 접근성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구간 거리를 10km 이내로 조정해 이용자 편의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제기했다. 또한, ‘코스’와 ‘구간’ 등 혼재된 용어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배 의원은 갈맷길 완보 인증 시스템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현재 ‘(사)걷고싶은부산’이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지만, 민간단체가 아닌 부산시가 직접 관리하고 발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걷기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배 의원은 걷기 지도자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50~60대 시민이 갈맷길을 많이 이용하는 만큼, 부산시에서 추진 중인 ‘하하 365 프로젝트’와 연계해 걷기 지도자 교육 과정을 운영하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갈맷길의 홍보와 관광상품화도 강조했다. 현재 갈맷길 홍보가 미흡하며, 특히 SNS와 유튜브 등 디지털 매체 활용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은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을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와 쇼츠 영상 등의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코리아 둘레길’과 연계해 갈맷길을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배 의원은 “부산의 갈맷길은 큰 잠재력을 가진 관광자원”이라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홍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갈맷길이 부산을 대표하는 걷기 여행길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과 홍보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부산시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