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지역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펀드를 조성하며 본격적인 투자 확대에 나선다. 지난해 지역 벤처투자 실적이 1842억 원을 기록한 가운데, 부산시의 벤처투자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며 2021년 1.6%에서 2024년 2.8%까지 상승했다.
부산시는 지역 벤처투자 생태계 확장을 위해 ‘미래성장 벤처펀드’를 중심으로 올해 3천억 원 규모의 자펀드를 조성하고 본격적인 투자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지역 주도로 조성된 이 모펀드는 지역 내 혁신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펼치는 핵심 축이 될 전망이다.
벤처투자 인프라 역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지역 벤처캐피털(VC) 기업 수는 2021년 11개에서 지난해 19개로 증가했으며, 창업기획자(AC) 수도 같은 기간 15개에서 28개로 급증했다. 이는 부산의 벤처투자 환경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부산시는 지난 2월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모한 ‘지방시대 벤처펀드’에서 우선 협상 지자체로 선정되면서, ‘(가칭)부산 혁신 스케일업 펀드’를 조성해 연내 2천억 원 규모의 자펀드를 추가로 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초기 및 성장 단계의 창업·벤처 기업과 스마트 첨단 제조 기업, 기업가형 소상공인(라이콘) 등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또한 시는 모태 기반 초기 창업 분야 펀드 조성을 위해 올해 20억 원을 편성, 시의 출자 비율을 기존 10%에서 20%로 확대했다. 이는 지난해 지역 창업생태계 간담회에서 투자사들이 요청한 ‘기관 출자자(LP) 참여 확대’를 적극 반영한 조치다. 아울러 지역 대학의 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해 ‘대학 기술 사업화 펀드’에도 10억 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번 투자 확대를 통해 지역 벤처투자 비율을 3%대까지 끌어올리고, 오는 2030년까지 8천억 원 규모의 추가 펀드를 조성해 총 2조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함으로써 벤처투자 비율을 4%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올해 설립된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을 중심으로 지역 투자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부산에서도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기술 창업기업의 발굴, 보육, 투자, 인프라 구축까지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