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두레이가 AI를 탑재한 협업툴 ‘Dooray! AI’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일찍이 스마트 협업문화에 주목해 협업툴 도입을 결정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 환경이 되자 업무 효율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외부망에서부터 두레이를 쓰기 시작했다. 이후 두레이의 효율성과 성능을 확인한 뒤 국정원 보안성 검토를 거쳐 2023년 5월부터 내부망(업무망)에서도 두레이를 활용 중이다.
최근 오픈한 두레이 AI는 크게 일상업무 쎄쌤, 전문지식 쎄쌤, 편의기능 등을 제공한다. ‘쎄쌤(SE SEM)’은 한국에너지공단이 AI 기능 이용 활성화를 위해 개최한 두레이 AI 별칭 공모로 선정된 단어다. 공단 대표 캐릭터인 세세와 쌤을 합쳐 선생님이자 가르치다는 의미를 담았다.
백창열 NHN 두레이 대표는 “한국에너지공단의 두레이AI 도입은 선도적인 사례이면서 동시에 앞으로 공공기관에 두레이 AI가 널리 퍼질 신호탄과 같다”며 “두레이 AI 로 보안관제의 허점은 방지하고, 특화된 맞춤형 쎄쌤을 만들어 향후 한국에너지공단의 업무 효율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기능 고도화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