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대 이환희 교수팀, 요일·공휴일 자살 위험 패턴 규명

1971-2019년 26개국 170만여 건 자살 자료 분석…저명 국제 학술지 'The BMJ' 게재

  •  

cnbnews 양혜신기자 |  2024.10.25 11:39:11

연구 이미지.(사진=부산대 제공)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공통적으로 월요일과 새해 첫날에 자살 위험이 가장 높다는 부산대학교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맞춤형 행동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부산대는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 교수 연구팀이 요일·공휴일별 자살 위험 패턴과 관련해 한국·일본 등 26개국의 지난 1971년부터 2019년까지 49년간 170만여 건의 자료를 바탕으로 모든 국가에서 월요일 자살 위험이 가장 높고 새해 첫날 또한 자살 위험이 증가한다는 분석 결과를 얻었다고 25일 밝혔다.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특히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층에서는 네 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이다. 자살의 시간적 변동을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심각한 문제에 대응하고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그동안 자살 위험의 시간적 변동을 다룬 연구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서구권에 편중돼 그 결과를 다양한 문화권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보였다. 특히 아시아를 포함한 서구권 이외의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부산대 연구팀은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요일 및 국가 공휴일에 따른 자살 위험 변동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부산대 연구팀은 26개국 740개 지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자살 위험 패턴을 조사했다. 연구는 다국가 다도시 협력 연구 네트워크(Multi-City multi-Country, MCC)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지난 1971년부터 2019년까지의 일별 자살 건수와 일평균 기온 데이터를 포함한 170만 건 이상의 자살 사례 분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모든 국가에서 월요일에 자살 위험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깨진 약속 효과(Broken Promise Effect)’가 가장 유력한 가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사람들이 새로운 주기가 시작될 때 절망감이 커져 자살 위험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주말의 영향은 국가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새해 첫날에도 모든 국가에서 자살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크리스마스의 경우 국가마다 자살 위험의 패턴에 차이가 있었으며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 이후 자살 위험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월요일과 새해 첫날 같은 특정 시점에 자살 위험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따른 자살 예방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월요일과 새해 첫날에 자살 위험이 가장 높다는 분석 결과는 자살 예방 전략 수립 시 특정 요일과 시기에 맞춤형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번 연구는 자살 위험이 시간적·문화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각국이 자살 위험이 높은 시기에 효과적이고 시기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 교수, 서울대 보건대학원 강신우 박사과정생, 일본 도쿄대 글로벌환경보건학과 김윤희 교수가 주도해 다국가 다도시 협력 연구 네트워크(MCC)로 구성된 국제 연구팀과 함께 공동으로 진행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The BMJ(British Medical Journal)' 10월 23일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Association of holidays and the day of the week with suicide risk: multicountry, two stage, time series study(공휴일 및 요일과 자살 위험의 연관성: 다국가, 2단계, 시계열 연구)다.

연구를 주도한 이환희 부산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국가에 통합된 접근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요일 및 휴일에 따른 자살 위험이 공간적·문화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근거 기반의 자살 예방 이론이 더욱 강화되고 효과적인 자살 예방 전략이 마련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