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은지 시의원 “사회적 합의 준수 위한 대화의 장 마련 필요”
전국 최초 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출발한 광주글로벌모터스(이하 GGM)가 첫 파업 위기에 놓인 가운데 광주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16일 광주시의회 채은지 부의장은(더불어민주당, 비례)은 시정질문을 통해 “GGM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지속 창출을 위해 중앙정부, 광주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노사민정협의회, 지역사회 및 다수기업 등이 참여한 상생형일자리”라며 “실패한 일자리로 남지 않도록 이해관계자 모두 사회적 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채 부의장은 광주시의 노사상생의 완성차공장 성공을 위한 합의 이행 및 추진 의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광주형일자리 추진체계의 두 축인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과 노사민정협의회 운영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채 부의장은 “재단이 추진하는 광주형일자리 관련 8개 사업 모두 추진율이 저조하고, 기존 상생일자리재단의 역할은 사라진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광주시가 운영하는 노사민정협의회에는 GGM에 소속된 노동자와 사용자 그 누구도 포함돼 있지 않고, 협의회 내 노사간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재조정위원회를 설치하게 돼 있지만, 설치조차 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채 부의장은 “GGM은 반값 임금을 지급하는 대신 광주시가 상생협정으로 약속한 사회적 임금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면서 “노사동반성장지원센터, 빛그린산단 개방형 체육관, 진입도로 개설 등 여러 사업은 지연되거나 부실시공으로 개관조차 못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GGM 적정임금 책정기준 및 인식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채 부의장은 “GGM과 광주시는 GGM 노동자의 평균 초임연봉은 3,700만원 수준이라고 약속을 지켰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일시적으로 지급되는 특별격려금과 사회적 임금의 일환인 주거지원비가 포함된 금액”이라며 “지역 청년들에게 교묘하게 거짓말을 하는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채 부의장은 “광주시, 현대자동차, 중앙정부, 주주들, 지역사회 등은 GGM의 현 상황에 대해 방관해선 안 되며, 모두가 나서 문제해결에 적극 대응하고 특히 광주시가 주도적으로 앞장서야 한다”고 광주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한편 지난 7일 GGM 노조는 지회 조합원 222명을 대상으로 입금·단체협약 교섭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202명 중 190명이 파업에 찬성했고, 오는 17일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주관 조정 회의에도 노사 양측이 조정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쟁의권을 확보한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