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국민의힘, 돌고 돌아 ‘원톱체제’…한동훈 대표 출마설 ‘솔솔’

결선투표제, 당권·대권 분리 등도 현행 규정 유지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4.06.13 11:24:50

국민의힘 오는 7월 열릴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게 권한을 몰아주는 ‘원톱 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확정하면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당대표 출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오는 7월 열릴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게 권한을 몰아주는 ‘원톱 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확정하면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대표 출마가 한층 탄력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위(위원장 여상규)는 12일 당대표와 최고위원단을 분리해서 선출하는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여기에 적용되는 ‘전당대회 룰’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20%로 확정했다.

이와 관련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전날 4선 이상 중진, 비대위원들과 각각 간담회를 열어 특위 초안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중진 간담회에서는 참석자 14명 중 과반이 ‘20%’를 선호했고, 현행 당원투표 100%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으며, ‘30%’를 주장한 의원은 서너명에 그쳤다는 전언이지만, 잠재적 당권주자로 분류되고 있는 윤상현·안철수 의원은 민심 비율 30%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25%)보다 낮은 비율은 당의 반성, 변화 의지를 보여주기에 부족하다”고 지적했고, 윤 의원도 “특위 결론이 실망스럽다. 민심 반영 비율이 충분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단일체제 유지와 민심 반영 비율에 대해 한 전 위원장과 가까운 한 인사는 12일 의원회관에서 CNB뉴스 기자와 만나 “단일체제 유지는 한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에 긍정적인 환경이 될 것”이라며 “한 전 위원장이 당선될 경우, 단일 지도체제를 통한 의원들과의 스킨십을 통해 여의도 정치 경험이 짧아 당내 기반이 취약하다는 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한 전 위원장은 지난 4‧10총선 패배 직후의 잠행에서 벗어나 자신이 공천장을 줬던 영입 인재 출신 22대 현역 의원들을 연달아 만나는 등 대표 출마를 염두에 두고 ‘몸풀기’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 위원장은 이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대표 선거의 키워드 중 하나인 국민의힘과 용산대통령실과의 관계에 대해 “존중하고 협력하는 관계” “이견 있을 때는 긴장 관계가 될 수도 있고, 그것이 건강한 정치”라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다른 중진 의원들은 아직 출마 여부를 공식화하지 않고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오는 25일경 대표·최고위원 후보 등록일을 앞두고 이르면 다음 주부터 출마자들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