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울산시, 여성 보호 및 취약가정 지원 강화

과잉 접근 스토킹 피해자 긴급주거지원 등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4.02.05 17:47:14

울산시청 전경(사진=울산시 제공)

울산시는 여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기능 강화 및 취약가정 아동양육비 지원 확대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울산시는 ‘성폭력 등 피해자 보호’를 위해 통합상담소, 해바라기센터 등 지원기관을 통해 통합(원스톱) 지원을 지속적으로 시행한다.

특히 ‘2024년 5대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여성긴급전화 1366 울산센터에서는 복합피해 등 고난도 사례 대응에 전문성을 갖추고 초기 긴급지원부터 일상회복까지 유관기관 간 협업하여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과잉 접근 스토킹 피해자에게 원룸·오피스텔 등 임시숙소를 지원하는 긴급주거지원 사업을 새로이 시행하고, 성매매 피해아동·청소년지원센터를 ‘성착취 피해아동·청소년지원센터’로 개편하여 성매매 외에도 길들이기(그루밍), 성폭력 등 피해 아동·청소년에 대한 긴급 구조, 법률, 학업 등 통합지원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취약가정 지원’을 위해서는 올해부터 청소년 부모 및 한부모가족 자녀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자 기준을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에서 63% 이하로 확대해 지원의 폭을 넓힌다.

지원금도 청소년 부모 아동양육비가 1인당 월 20만 원에서 25만원,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가 월 20만 원에서 21만 원으로 인상된다. 특히, 청소년한부모의 자립 지원을 위해 0~1세 영아 자녀 양육 시 기존 월 35만 원에 자녀 1인당 5만 원씩 추가 지원한다.

또한, 주택이 없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의 한부모가족이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시설 입소기간을 연장했으며, 24세 이하의 위기임산부는 소득기준에 상관없이 출산지원시설에 입소해 출산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여성폭력 피해자들의 안전한 일상과 취약가정의 건강한 자녀 양육 및 생활 안정을 위해 지원체계를 더 촘촘히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