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축사‧공장‧창고 등 건설현장 지붕공사 사고사망자는 125명에 달하고 있으며, 특히 사망사고는 소규모 초단기공사에서 발생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이하 공단)은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지붕공사 추락재해 예방 시스템을 시범 구축했다.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면 드론 사진을 통해 지붕의 재질, 노후도 등 위험요소에 대한 판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향후 사업이 고도화 되면 고위험 지붕 현장에 대한 전문적인 산재예방 사업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공단은 자체 시범사업을 통해 현장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축사를 대상으로 디지털지도를 구축했다. 먼저 경남도 합천군과 협업해 디지털 트윈 구축 대상 축사 405개소를 선정했고, 사업내용을 주민들에게 안내한 후에 드론을 사용해 항공촬영(해상도 5㎝/pixel)을 실시했다.
촬영된 축사 지붕의 위험도를 판정하기 위해 전문가와 함께 지붕 재질, 노후, 파손, 채광창/태양열 발전/개구부 등의 위험요소에 면적, 수량 정보를 반영한 위험도 판정기준을 도출했다. 최종적으로 마련된 기준은 축사 405개소에 적용해 5단계(위험-심각-경고-주의-양호)로 위험도를 판정하는데 사용됐다.
공단은 축사의 위치정보와 위험도 정보를 시각화한 디지털 지도를 제작했으며, 고위험 축사 직접 기술지원, OPS 등의 안전보건자료 배포, 지자체(합천군) 합동점검 및 캠페인 등 산재예방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축사뿐만 아니라 공장, 산업단지 등 지붕공사 위험 사업장에 대한 디지털 지도 구축을 확대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지붕재 종류 및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자동 인식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위성·항공촬영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셋 도 구축한다. 그 밖에도 추락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등 지붕공사 근로자 보호조치도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최종적으로는 개발된 시스템을 지붕공사 고위험 사업장 밀집지역 등에서 산재예방사업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넓은 지역에서 지붕 위험도 데이터베이스를 신속하게 구축하면 추락위험 구간 관리와 작업현황 밀착 관리 등 효율적인 산재예방 사업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안전보건공단 안종주 이사장은 "디지털 트윈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산재예방 모델 구축을 통해 효율적인 사망사고 감소 효과가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스마트 안전보건 시스템을 발굴하여 중대재해 감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