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해파리의 독단백질로부터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Amyloid-β plaque)의 형성을 억제하는 펩타이드를 발견하고 두 건의 특허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
KIOST 염승식 박사 연구팀은 우리나라 남해안에 주로 출현하는 독성 해파리 종인 ‘작은상자해파리’와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말레이해파리’의 유전체 정보로부터 신경계에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독단백질들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들 중 일부를 합성해 기능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작은상자해파리’에서 추출한 펩타이드인 ‘CBRV1-04369’와 ‘말레이해파리’에서 추출한 ‘SMA_04088-2’가 아밀로이드 베타의 올리고머화와 섬유화를 저지해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형성을 막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가천대 안성수 교수 및 장근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각각 특허를 등록했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급속화게 진행됨에 따라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치매 개선제 또는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해양단백질 기반 바이오메디컬 소재 개발’과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의 ‘해양동물 유전체정보 생산 및 분석’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강도형 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유해 해양생물인 해파리 독이 유용 해양바이오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연구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