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23.08.01 10:21:40
국민의힘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0.29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논란으로 국회에서 탄핵됐다가 지난 달 25일 헌법재판소로부터 재판관 전원일치 반대로 업무에 복귀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겨냥해 “국민 정서를 생각해 주무 장관으로서 물러났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지난 달 31일 오전 공개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헌법재판소로부터 탄핵 심판 ‘기각’ 선고를 받은 이 장관을 겨냥해 “지난 75년 헌정사를 볼 때 그런 사태(이태원참사)가 났다면 주무 장관으로서 당연히 물러났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전 비대위원장은 “장관이 사의 표명도 안 하고 대통령도 사의 표명을 받아들일 생각이 없었으니 이런 사태(헌법재판소 탄핵심판)가 일어난 것”이라며 “정치인이 도의적 책임을 안 지면 어떻게 하느냐. 정치는 우격다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 정서를 생각해야 하는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김 전 비대위원장은 사회자가 ‘윤석열 대통령이 이상민 장관을 지키려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느냐’라고 질문하자 “그것은 윤 대통령 성격 문제라고 본다. 다른 것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라며 “과거 노태우 대통령 시절인 지난 1991년에 강경대 사건으로 치안본부장, 내무장관, 나중에는 총리까지 전부 그만두었다. 국민 정서라는 것을 무시하고 지나쳐서 성공한 정권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전 비대위원장은 ‘자연 재해·사회적 참사 등이 반복되는데 공무원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비판에 대해 “윤석열 정부 스스로의 책임”이라며 “우리나라는 전부 용산만 쳐다보고 있지 않는가. 원래 대통령실은 내각이 제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을 해줘야 하는데, (대통령실이) 모든 것을 결정하려고 하니 밑에서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김 전 비대위원장은 “윤 대통령은 정치를 처음 하는 사람”이라며 “(그런데도) 대통령 성격상 (정치적) 모든 것을 다 흡수했다고 착각하니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김 전 비대위원장은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지도자로서 자질이 보였나’라는 질문에 “그때는 보수 쪽에 (대통령) 후보자로 마땅한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내가 윤 대통령을 보고 ‘별의 순간을 잡았다’고 말한 것 같다”고 답변하는 등 윤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행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김 전 비대위원장은 대선 경선 과정에서 ‘(윤석열) 후보가 연기를 좀 해달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선대위 한 달 쯤 돼서 윤 대통령(당시 대선 후보자)이 말실수를 너무 해서 지지도가 올라가지 않아 한 말”이라며 “어느 나라나 대통령 선거는 각본을 주면 그대로 하는 것인데, 윤 대통령은 이것(연기 요청)이 기분 나빴는지 그 이후 나와 헤어졌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전 비대위원장은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백지화를 선언한 것과 관련해서는 “해결책은 원 장관 스스로 찾아내야 한다. 정부 사업을 장관이 독단적으로 백지화시킨다는 것은 일반 상식으로 맞지 않는 얘기다. 백지화시킬 때 어떤 반응이 나올 것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그런 판단을 안 했으면 장관으로서 큰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같이 비판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