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창원대 손영욱 교수팀, 셀 형태 임피던스 변화 원리 규명

  •  

cnbnews 심지윤기자 |  2023.03.27 14:55:54

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 화학공학전공 손영욱 교수 연구팀이 규명한 코인 셀과 파우치 셀에서 셀 크기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원리 사진. (사진=창원대 제공)

창원대학교는 스마트그린공학부 화학공학전공 손영욱 교수 연구팀이 코인 셀과 파우치 셀에서 셀 크기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원리를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손 교수에 따르면 코인 셀은 적은 양의 전극 재료로도 전기화학 테스트 가능하고 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학계에서 연구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전지 형태이다. 그러나 코인 셀과 실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파우치나 원통형 셀들의 형태 차이에 따른 전기화학 성능 변화는 깊이 연구되지 않았었다.

손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전기화학 분석(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EIS, Galvanostatic Intermittent Titration Technique·GITT, 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DC-IR) 등을 통해 셀 형태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원리를 규명했다. 또한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전지 수명 및 고속 충방전 열화 현상을 관측했다.

손 교수는 영국 캠브리지대학의 마이클 볼더 교수 연구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조재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해당 연구 성과(제목: 'Analysis of Differences i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between Coin and Pouch Cells for Lithium-Ion Battery Applications')는 국제저명학술지인 'Energy & Environmental Materials(Impact factor=13.443)'에 게재됐다.

창원대 손영욱 교수는 "리튬이온전지 연구 분야에서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우수한 연구들 가운데 실제 산업까지 연결되지 못한 것들이 많다"며 "연구 결과가 산업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셀 형태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원리와 같은 셀 평가 조건에 따른 전기화학 성능 변화 원리 규명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도 기초연구에 그치지 않고 산업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결과로 도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