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에 대한 국회 표결 과정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발생한 것과 관련, 그동안 잠잠했던 친명(친이재명)·비명(비이재명)계 간 갈등이 고개를 들었다.
친명계는 반란표를 던진 비명계를 배신자로 규정하며 2차 체포동의안이 국회 본회의에 넘어 올 경우 부결을 당론으로 정하겠다고 압박하며, 내년 총선 공천에 권리당원 여론 조사를 반영하겠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비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친명계 한 원내 인사는 자신의 SNS에 비명계 한 의원의 이름을 직접 지목하면서 “어떤 표결을 했는가. 당당하게 밝히고 당원과 국민들께 평가받을 생각은 없으신가?”라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하기도 했다.
친명계 한 초선의원은 CNB뉴스와의 통화에서 “당 지도부가 그렇게 압도적 부결을 그렇게 확신했는데 결과는 반대로 나왔다. 이에 대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대표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 딸)들도 체포동의안에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색출하겠다며 명단을 작성하고 문자 폭탄을 돌리는 등 당 내홍에 기름을 붓고 있다.
하지만 이에 맞서 비명계는 이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비명계로 분류되고 있는 한 중진의원은 “이 대표가 개인적으로는 억울하더라도 자신의 문제로 인해 당에 부정적 이미지가 덧씌워지는데 대한 책임이 있는 건 틀림없지 않나”며 사실상 이 대표 사퇴를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겉으로 나온 체포동의안 찬성표 숫자는 빙산의 일각일지도 모른다. 이 대표의 결단을 촉구하는 당내 의원 규모가 예상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양측의 갈등이 커지자 일각에서는 양측 모두 자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립 성향의 한 의원은 “무기명 비밀투표에 대해 하나하나 다 확인하는 과정은 적절하지 않음에도 강성지지자들이 비명계 모두를 향해 공격한다면 결과는 당이 더 분열될 것”이라며 자제를 촉구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