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을 확정받아 수감 중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8일 경 실시할 예정인 연말 특별사면 대상자에서 자신을 제외해달라고 거듭 밝혀 주목된다.
김 전 지사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에 가담한 혐의로 지난해 7월, 징역 2년 형을 확정받아 내년 5월4일 형이 만료된다. 오는 2028년 5월까지 5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돼 2024년 총선은 물론, 2026년 대선에도 출마할 수 없다.
그럼에도 김 전 지사는 강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13일 부인 김정순 씨를 통해 공개한 ‘가석방 불원서’에서 “가석방은 교정시설에서 ‘뉘우치는 빛이 뚜렷한’ 등의 요건을 갖춘 수형자 중에서 대상자를 선정해 법무부에 심사를 신청하는 것이라고 ‘수형생활 안내서’에 나와 있다. 처음부터 줄곧 무죄를 주장해온 나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요건”이라며 “나는 가석방을 원하지 않는다”고 거부의사를 밝혔다.
이는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에 들러리가 되는 끼워넣기 사면을 거부한다는 의미로 읽힌다.
또한 자신의 무죄 주장을 통해 정치보복의 피해자라는 이미지를 선명하게 부각하는 등 사실상 ‘옥중 정치’에 나선 셈이다.
이에 국민의힘은 “정해진 것도 없는데 혼자 거부를 하면서 양심수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고 불편한 내색을 드러낸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김 전 지사가 유력한 대권주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특히 민주당 내에서는 김 전 지사가 ‘복권 없는 사면’이 되든, 아니면 사면에서 아예 제외되더라도 내년 5월이면 만기 출소하는 만큼 2028년 5월까지 출마만 제한될 뿐 정치적 활동은 할 수 있다며 기대를 거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민주당 친문계 한 중진 의원은 CNB뉴스 기자와 만나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문재인·노무현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람으로서 국민이 요구하는 정치적 책임과 역할을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따라서 김 전 지사가 석방되면 당이 든든해지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제로 당내에서는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대한 대안론으로 ‘친문’의 구심점이 되는 것은 물론, 이 대표와 경선에서 치열하게 경쟁했던 이낙연 전 국무총리와 달리 '친 이재명계'의 거부감도 덜하다는 점에서 김 전 지사를 주목하는 분위기다.
한편 대통령실은 김 전 지사의 입장표명에 “신경 쓰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선거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감옥 안에서 고도의 정치행위를 하고 있다”고 불쾌해하는 기류도 감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