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미분양주택의 급격한 증가와 지속적 금리 인상에 따른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주택시장의 안정화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4일 산격청사 대회의실에서 대구지역에서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건설사업자와 간담회를 개최해 미분양 등 주택시장 동향과 전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 민ㆍ관이 함께 미분양 주택문제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그동안 시는 지난해 6월부터 6차례에 걸쳐 국토교통부에 선제적인 조정대상지역 지정 해제를 지속해서 요청해 지난 7월과 9월에 수성구를 비롯해 대구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됐다.
대구시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됐으나 미 연준 금리인상에 따른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등으로 조정대상지역 해제 효과가 상쇄돼 주택가격 및 거래량은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시는 미분양주택 해소를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협의해 중구, 동구, 남구, 달서구, 수성구 지역을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해 토지매입 시부터 분양 승인까지 주택보증공사의 사전심사 실시로 신규 분양물량 공급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미분양 해소방안을 포함해 주택시장 안정화 대응 방향설정, 시민주거진단 등을 2023년 수립예정인 2030 주거종합계획에 반영해 주택시장의 장기적 발전과 시민 주거 상향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대구시는 지역의 특성에 맞게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주택정책 권한 위임과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한 세제 및 금융지원 강화 등을 중앙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다.
권오환 대구시 도시주택국장은 “미분양 현황이 단기간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지속적으로 민·관이 함께 긴밀히 협조해 미분양 해소 및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주택시장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