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박소영 대구시의원, 미분양 아파트 급증은 대구시 주택정책 책임

  •  

cnbnews 신규성기자 |  2022.10.05 10:47:05

박소영 대구시의원

대구시의회 박소영 의원(동구, 건설교통위원회)은 지난달 30일 열린 제295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지난해부터 급증하고 있는 미분양 공동주택이 8월 말 현재 8천300세대를 넘긴 것은 지난 몇 년간 과열된 주택시장의 과잉공급을 관망해 온 대구시의 주택정책도 큰 책임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속한 미분양 주택 해소 대책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주택정책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시의 미분양 주택이 8월 말 현재 8천300세대를 넘기는 등 대구가 ‘아파트 분양시장의 무덤’이라고 불릴 만큼 심각하다”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 7월 고시한 9개소의 ‘미분양 관리지역’ 중 대구지역이 절반에 가까운 4개에 이를 정도로 중앙정부에서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라고 사안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특히 미분양 주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2018~2021년까지 무려 12만 세대의 주택을 분양했고, 그 결과 2021년부터 집계한다면 2024년까지 4년간 9만3천 세대의 신규 주택이 쏟아져 나오게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엄청난 물량의 신규 주택으로 미분양 주택의 소진이 쉽지 않은 상황을 고려할 때 미분양 주택의 문제는 주택시장과 부동산의 문제를 넘어 건설산업을 비롯한 지역 경제 전반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다”면서 깊은 우려와 함께 전방위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대구시의 주택정책에 대해서도 말했다.

박 의원은 “이 같은 미분양 주택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은 지난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겠지만, 주택시장이 이미 과열돼 있었음에도 법적 요건만 갖추면 주택 사업을 승인해 온 대구시 정책도 큰 책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구시가 ‘주거기본법'에 따라 주거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수립한 '2027 대구시 주거종합계획'에는 2018년~2021년의 주택 수요를 약 5만 세대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며 “같은 기간의 12만 세대는 적정 주택 수요보다 2.4배 이상 초과공급된 것이며, 2018년부터 2027년까지 10년간의 예측 주택 수요인 11만 세대도 뛰어넘는 물량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