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캠코 '전세사기 예방 요령' 공개·배포

임차인 주거 안정과 권익 보호 목적…홈페이지, 유튜브 등서 확인 가능

  •  

cnbnews 이선주기자 |  2022.06.07 15:38:32

전세사기 예방 요령.(사진=캠코 제공)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부동산 전세사기로부터 임차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설명자료인 '전세사기 예방 요령'을 제작해 홈페이지 등에 게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전세사기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임차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임차인의 주거 안정과 권익을 보호하고자 제작됐다.

예방 요령에는 임대차 계약 전·후 확인 사항, 임차인 보호장치, 체납 국세·지방세 권리분석 기준 등 임차인 법의 테두리 안에서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는 방법 등을 담고 있다.

우선, 임대차 계약 전 건축물대장, 등기사항증명서 등을 꼼꼼히 살펴 보고, 등기사항증명서 상의 소유자와 계약자가 동일인물인지 확인해야 한다. 임차물건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이 너무 높지 않은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세금 중 당해세는 전세보증금에 우선하지만 압류등기 전까지 체납사실을 알 수 없다. 따라서 계약 체결 전 미납국세 열람제도를 활용하거나 국세·지방세 납부증명서를 임대인에게 요구해 세금체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계약 체결 후에는 잔금 지급 전 등기사항증명서를 확인해 선순위 권리 관계 등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주택점유와 전입신고를 통해 대항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 때, 근저당권과 전입신고가 같은 날 진행될 경우 대항력을 인정받지 못한다. 임차인의 대항력은 주택점유 및 전입신고일 다음날부터 생기는 반면, 근저당설정등기는 등기신청일부터 효력이 발생해 근저당권이 선순위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약서에 '전입신고 효력이 발생하는 계약일 다음 날까지 계약당시 상태로 유지'한다는 특약사항을 기재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전세권 설정 등 임차인 보호장치를 활용해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임대차 분쟁 발생 시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부동산원 등을 통해 상담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소유자의 세금체납으로 임차부동산이 캠코 공매로 넘어간 경우 체납 국세·지방세 권리분석 기준을 확인해야 한다. 캠코 공매 배분 절차에서는 조세채권은 법정기일, 임차인은 전입일자와 확정일자, 소액임차인은 전입일자, 담보채권 설정일자를 기준일로 순위를 정해 배분하기 때문이다. 임차인은 배분요구의 종기까지 채권신고 및 배분요구를 해야 배분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캠코 홈페이지 또는 온비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캠코는 공매물건 임차인을 대상으로 임차인 권리요건을 요약한 '보증금 지키는 방법' 자료를 추가 발송하고, 관련 영상을 유튜브 온비드 채널에 공개할 예정이다. 핸드북으로 별도 제작해 배포도 한다.

김귀수 캠코 가계지원본부장은 "캠코의 지식·인프라를 활용해 임차인의 권익 보호 등 사회문제 해소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국민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