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KAI, 항공기용 소재 부품 국산화 '속도'…89개사 협력

소재 공급망 확보로 일정 단축·운송비 절감 등 수출 경쟁력 제고

  •  

cnbnews 이선주기자 |  2022.06.03 16:00:25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오른쪽)은 지난 2일 세아창원특수강 이정훈 대표이사와 'With Korea Team' 컨소시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KAI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8개 협력사와 손을 잡고 항공기용 소재 국산화를 가속화한다.

KAI는 지난 2일 세아창원특수강과 'With Korea Team' 컨소시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With Korea Team'은 KAI와 세아창원특수강 외에 세아항공방산소재 등 7개 협력사로 구성되며 알루미늄, 타이타늄 등 항공기용 압출·단조소재 부품 국산화를 위한 전 과정에 협력하는 연합 협의체다.

이번 협약을 통해 KAI는 공정기술 개발과 승인 등 전 과정을 주관하고, 세아창원특수강은 원소재 생산과 공정 진행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한다.

소재 국산화 성공 시 공급의 안정을 통해 원가경쟁력은 물론 생산일정 단축·운송비 절감 등 수출 경쟁력 제고 등이 기대된다.

특히, 알루미늄 압출재는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부품으로 소재 국산화 성공 시 공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줄여 최근 유럽·미국 등 글로벌 고객이 요구하는 탄소중립도 충족이 가능하다.

KAI는 2019년 '항공소재개발연합'을 발족하고,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군수품뿐 아니라 민항기 기체 부품도 국산화 소재를 적용한다.

현재 알루미늄 압출재와 타이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20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종 등 총 35종의 국산화가 완료됐다.

KAI는 지난해부터 민수용 Wing 단조품 개발에 자체 투자해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고, 올해 고객사로부터 FAI 승인을 받아 양산에 착수할 계획이다. 양산 시 년간 22억원 이상의 원가가 절감된다.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은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1조1200억 원 규모"라며 "소재부품 국산화를 확대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KAI는 중장기적으로 동체, 난삭재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의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기존 고객인 보잉·에어버스에서 벗어나 중형기·비즈니스 제트기 OEM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