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심층분석] 문재인-윤석열, 역대급 긴 회동의 '숨은 의미'

  •  

cnbnews 도기천·심원섭기자 |  2022.03.29 10:43:00

회동서 빠진 MB사면, 결국 윤석열의 몫

당선 19일만에 만나 역대급 장시간 회동

'靑 이전 협력' 등으로 정국 돌파구 찾아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만찬 회동을 위해 청와대에 도착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저녁에 드디어 문재인 대통령과 만났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후 19일 만으로, 당선인과 현직 대통령의 만남으로는 역사상 가장 늦은 회동이다. 청와대 이전 등 여러 얘기가 오갔는데, 실타래처럼 얽힌 정국이 돌파구를 찾을지 주목된다. (CNB=도기천· 심원섭 기자)


 

 

장면1 분위기는?  술 한잔 나누며 화기애애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5시59분 청와대에 도착해 이례적으로 상춘재 앞까지 마중 나온 문 대통령을 만났고 간단한 인사를 나눈 뒤 만찬을 시작한 이후 8시 50분까지 총 2시간 51분간 회동을 진행했다. 회동 시간 만으로 본다면 대통령의 공식 만찬으로는 사상 최고로 긴 시간이다.   

두 사람은 의제없이 흉금없이 과거 인연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면서 식사와 함께 제공된 반주도 한두잔 하는 등 화기애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만찬 회동이 끝나고 나서 문 대통령은 윤 당선인에게 넥타이를 선물하면서 “꼭 성공하시기를 빈다. 제가 도울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해달라”고 말했으며, 이에 윤 당선인도 “건강하시길 빈다”고 화답했다. 

 

 

장면2 핫이슈는?  청와대 이전 협력 

 

이날 회동의 빅 이슈는 역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었다. 

  

윤 당선인은 청와대 상춘재에서 문 대통령을 만나 집무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청와대 시대를 꼭 마감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했으며, 이에 문 대통령은 “집무실 이전은 차기 정무의 몫으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약속했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만찬 종료 후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연스럽게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얘기가 나왔다. 문 대통령께서는 ‘집무실 이전 지역에 대한 판단은 오롯이 차기 정부가 판단할 문제이고 지금 정부는 정확하게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장 실장은 ‘집무실 이전 예비비를 국무회의에 상정할지 논의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런 구체적인 얘기는 하지 않았다. 시기라든지, 이전 내용이라든지 이런 것을 공유해 대통령께서 협조하겠다는 말씀으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장 실장은 ‘취임식 이전에 집무실 이전도 가능하겠는가’라는 질문에 “두 분께서 시기까지 가능하다, 하지 않다는 말은 없었다”며 “어쨌든 문 대통령이 협조하고 실질적인 이전 계획 예산을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후 만찬 회동을 위해 청와대 상춘재로 향하며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차 추경 편성 문제도 회동에서 논의됐다. 2차 추경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재원이라 신속히 처리돼야할 사안으로 꼽힌다.  

 

장 실장은 “시기나 규모는 구체적으로 얘기 안 했고 추경의 필요성은 두 분이 공감했다. 이철희 정무수석과 제가 실무적으로 그 라인에서 계속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장면3 민감한 주제는?  서로 비껴가


또한 인사권 문제와 관련해서 장 실장은 “구체적으로 ‘어떤 인사를 어떻게 하자’는 얘기는 전혀 없었지만 문 대통령께서 ‘남은 임기에 해야 할 인사 문제에 대해 이철희 수석, 장제원 비서실장께서 국민 걱정을 덜 수 있게 잘 의논해 달라’고 당부했고 당선인도 ‘이 수석과 장 실장이 잘 협의해주길 바란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이는 현재권력과 미래권력이 협력해서 문재인 대통령의 마지막 인사권 행사를 차질없이 진행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 문 대통령 측과 인수위 측은 문 대통령의 한은 총재 후보자 지명을 놓고 신경전을 벌인 바 있다.   

이처럼 여러 사안을 놓고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펼쳐졌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등 민감한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  


장 실장은 “윤 당선인은 (이명박 등의) 사면 문제에 대해 일절 거론하지 않았고 문 대통령도 그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사면권은 전적으로 곧 대통령에 취임할 윤 당선인의 몫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 문제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CNB=도기천· 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