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의회가 대구취수장 구미 이전에 대해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낙동강 전체 수질 개선 방향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계획을 밝히자 지역 사회가 요동을 치고 있다. 구미 발전을 위해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시점에서 정치권의 반대에 맞서 구미시장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구미시의회는 최근 225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대구 취수원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장에 윤종호 의원, 부위원장에 김영길 의원 등 위원 7명을 선임하고 협의를 거쳐 활동 계획서를 확정했다.
윤 위원장은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구미와 대구 두 지역 간 문제가 아닌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하는 경북도 전체 문제로서 낙동강 전체의 수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연구 용역을 검증하기 위해 구미시에서 시행한 취수원 이전 관련 2건의 용역 결과를 청취했다”며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에 불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윤 위원장은 “취수원 이전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및 공장설립제한지역 해제로 인한 대구시 개발이익은 19조 원으로 상수원보호구역 등이 확대될 경우 구미시 피해 기회비용은 17조 원 등 결론이 도출됐음을 시민에게 알리겠다”고 덧붙였다.
구미시의회는 환경부 용역 결과에 대한 검증용역 결과가 지난해 12월 나온 상황에서 2차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2차 특위는 낙동강 수질개선과 구미ㆍ대구 상생발전 연구, 대구 취수원 이전 반대. 취수원 이전 관련 사례수집과 분석 정책대안 제시,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검증 용역과 영향분석 활동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한다.
특위는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과 관련 현 황파악을 위한 집행기관의 용역 결과 청취와 추진현황 점검 등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그러나 구미시의회의 입장에 구미취수원과 구미시민을 위한 구미시장의 결단을 촉구하는 여론이 일고 있다.
시민 사회에서는 “구미취수원과 관계있는 지역구 국회의원, 시.도의원의 대선과 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며 “대구에 물을 주면 일부 물이 부족하다는 논리는 전혀 전문성이 없으며 반대를 위한 반대 주장이다”며 비난을 하고 있다.
또 “시의원과 시의회의 결정이 시민의 목소리라고 하나 결국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의식한 자기 표 계산의 의도가 깔려 있다”고 지적했다.
구미취수원 용역은 정부기관이 10억 원의 용역비를 투입해 심도있는 조사를 했다. 일부 취수원 이전 반대 추진위는 일부 시의원의 주장에 편승해 정부 용역을 무시하고 반대 여론을 펴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자신들의 정치를 위해 반대 아닌 반대를 하고 있다고 일침을 놓았다.
구미 경제인과 일부 시민들은 “내륙에 고립된 옛 영광의 구미공단 도시가 제2의 도약을 위한 계기 마련의 때가 왔다”며 “군위공항으로 하늘의 길이 열렸고 구미KTX 역사의 필요성과 설치가 되는 등 하늘에 이어 육지의 통로가 생겨 구미는 제2의 도약과 성장의 기회가 왔다”며 대승적 구미 발전을 위하고 대구와 상생을 통한 구미시장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시ㆍ도의원 등 정치인도 구미 발전을 위한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