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보건복지부가 전국 시ㆍ도를 대상으로 공모한 제약산업 육성지원 국책사업인 ‘제약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제약 스마트팩토리플랫폼 구축사업’은 국내 제약기업에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시스템의 스마트 공장 표준 모델을 제시하고, 중소·벤처 제약기업의 원료 및 완제의약품 생산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이다.
시는 2024년까지 국비 140억원을 포함해 총 200억원(국비 140억원, 시비 6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이하 대구첨복단지) 의약생산센터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미국식품의약국(FDA), 유럽 의약품청(EMA) 등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우수 품질과 생산과정의 안전성·투명성을 갖춘 QbD 시스템 기반의 제약 스마트 생산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주요 시설로 △원료의약품 생산라인(최대 200ℓ 생산) △완제의약품(주사제) 생산라인(최대 20㎖ 생산) △융복합의료제품 생산작업실 △의약품 품질관리 시험실 △스마트 생산시설 확산·보급을 위한 교육·홍보 투어 시설 등을 구성할 계획이다.
시는 다음 달 정부로부터 국비(설계비) 7억원을 지원받아 2022년 말까지 설계용역을 마치고, 2023년 상반기에 시설공사 착공을 거쳐 2024년 상반기에 준공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 운영기관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대구첨복재단)은 원료·완제의약품 생산 및 융복합의료제품의 GMP(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제작에 대한 플랫폼 기능을 각각 수행할 계획이다.
대구첨복단지에 제약 스마트 생산시설·시스템이 본격 운영되면 글로벌 수준의 (비)임상시험 수행과 제품화를 위한 △원료 및 완제의약품 생산 지원 △의약품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지원 △국내 제약분야 스마트 생산시스템 확산·보급 등이 가능해 제약기업의 효율성 높은 신약개발 촉진과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대구첨복재단은 국내 제약기업의 원료 및 완제의약품 생산 수요를 해소하는 동시에 수주 서비스 증가에 따른 수익 증대로 재단의 재정적 자립화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국제 기준을 갖춘 글로벌 수준의 제약 스마트 생산지원 거점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