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남대 극동연, 독일 프리드리히나우만재단과 학술대회 개최

2일 ‘북한 김정은 정권 10년 평가와 전망’ 공동 국제학술회의 열려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1.11.02 16:20:42

극동문제연구소-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국제학술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경남대 제공)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는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과 공동으로 2일 서울 삼청동 연구소 대회의실에서 국제학술회의(웨비나, 동시통역)를 개최했다.

‘북한 김정은 정권 10년 평가와 전망’을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회의는 ‘정치·경제·사회 분야 평가와 전망’과 ‘군사 및 대외관계 평가와 전망’의 두 세션으로 진행됐다.

제1세션에서는 이관세 소장의 사회로 △안경모 국방대 교수의 ‘김정은 시대 통치이데올로기와 국가전략’ △김일한 동국대 DMZ평화센터 연구위원의 ‘선군에서 인민으로, 국가정상화 전략 평가와 전망’ △전영선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의 ‘북한의 사회문화 통제전략 평가: ‘욕망의 창출’ 대 ‘사상문화 검열’ 발표가 진행됐다.

이에 대해 히라이 히사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빙연구위원,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정영철 서강대 교수가 각각 토론을 진행했다.

제2세션에는 △장철운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의 ‘북한의 군사력 및 군의 역할 변화에 대한 평가와 전망’ △신봉섭 광운대 초빙교수(전 주선양 총영사)의 ‘김정은 집권 시기 북중관계의 평가와 전망’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의 ‘김정은 시기 북미관계 10년: 단절과 연속의 2중주’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의 ‘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 10년 평가 및 전망’ 발표가 진행됐다.

이에 대해 황일도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교수, 이상만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정계영 중국 복단대 교수, 김형석 대진대 교수(전 통일부 차관)이 각각 토론을 진행했다.

국제학술회의를 공동 주최한 이 소장은 “김정은 정권 10년을 연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종합 평가하는 작업은 북한 체제 내 내구력과 최고지도자의 리더십 등 체제 내부의 안정성 평가에 중요하다”며 “오늘 세미나는 차기 정부의 통일·대북정책의 방향성 제시에도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