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7일 오후 시청 4층 중회의실에서 ‘방사능 재난 대비 시민대피 통합관리시스템 고도화’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방사능 재난 대비 시민대피 통합관리시스템은 민선 7기 공약 사업중 하나로 국내 최초로 원전사고 발생 시 시민의 신속한 대피를 위한 종합적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지난해 구축됐다.
올해 추가적인 기능들을 개발하고자 고도화사업을 지난 6월에 착수했다.
주요 용역 내용은 △교통분석결과 표출 지원(소개경로에 따른 애니메이션, 로드뷰, 최근 3년 교통데이터 기반 통제유형별 교통통제지점 선정 등) 기능 개발 △주민보호조치 이행 관련 통계(구·군별 인구현황, 안전취약계층 현황, 구호소 입소현황, 방호약품 배포현황, 통제소 설치현황 등) 분석 기능 개발 △방사능 방재관련 정보(집결지, 구호소, 갑상샘방호약품 보관장소 등)시각화 기능 개발 등이다.
이날 중간보고회는 원자력 시설 안전에 관한 소통체계와 신뢰 구축을 위해 구성한 울산시 원자력시설 안전자문단과 재난 및 교통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도화 사업 추진사항 설명, 질의응답 및 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사업이 완료되면 방사선 비상단계에 따른 주민보호조치와 관련한 정보를 다양한 시각화 기능으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고 실효성 있는 방사능 방재역량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