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5.03 12:54:12
비대면, 디지털화 가속화 등에 따라 일자리 여건 변화에 따른 부산 일자리 확대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년벤처 붐업, 일 맞춤 인력 양성 협력체계 마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BDI)은 위와 같은 내용이 담긴 ‘일자리 여건 변화와 청년 일자리 확대 방안’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비대면 디지털화의 가속화, 온라인 거래 확대, 업무방식 변화 등에 따라 IT 기반 창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청년벤처 붐업’을 통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확대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서옥순 연구위원은 “청년 창업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엑셀러레이트 기반’, 전문성 확충과 함께 ‘청년 창업펀드’ 조성 지원이 필요하다”며 “청년이 학교생활, 취미, 동아리 활동 등으로 창업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청년 창업 동아리 참가자의 시 주관 창업 심사 참관 기회를 확대할 필요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 맞춤 인력 양성 협력체계’ 마련도 청년 일자리 확대 방안으로 제시됐다. 서 연구위원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일-학습 병행제’를 보완하고 훈련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직업훈련협회, 학교, 지자체, 중앙정부로 구성된 ‘맞춤형 직업훈련 협의체’를 구성하자”며 “이는 각 기관의 역할 분담과 협력으로 직업훈련의 질을 높이기 위한 협의체”라고 설명했다.
부산 청년의 취업을 위한 역외유출을 완화하기 위해 취업하고 싶은 중소기업 만들기 등의 방안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의 고용상황이 좋을 때는 부산 소재 대학 졸업자의 수도권 취업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에 따라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부산연구원이 지난해 9월 부산 소재 고교 또는 대학을 졸업한 만 20~29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부산 소재 중소기업에 취업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이는 75.3%로 나타났다. 부산 청년은 중소기업이라도 ▲급여 수준 ▲근무환경 ▲복지 측면에서 수도권과 격차가 크지 않으면 부산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분석돼 ‘좋은 일자리 확대’를 통한 청년 인력 활성화의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