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부산지부(교육공무직 노조)가 28일 오후 3시 부산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직원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노조는 “학교의 역할과 교육복지의 내용이 다양해지면서 전국에 15만명이 넘는 교육공무직 노동자가 학교에서 일하고 있다. 급식, 청소, 돌봄, 교무행정, 특수교육, 사서 등 직종은 90여개에 달한다”며 “그러나 일하다 발생하는 노동 안전문제로부터 온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노동자의 건강할 권리를 보장하고 재해를 예방하는 책임은 교육청에 있다”며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제기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에 따르면 노조는 4월 ‘노동자건강권쟁취투쟁의 달’을 맞아 이날 부산을 포함한 전국 각 지부에서 동시에 건강권 확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한다.
부산시교육청 앞 기자회견에서 이들은 “우리 본부는 4월 ‘노동자건강권쟁취투쟁의 달’을 맞아 교육공무직 건강에 대한 설문조사를 지난 13일부터 23일까지 총 83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서 노동자의 38%는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90%에 달하는 노동자는 본인의 건강과 노동이 관계가 있다고 답했다”며 “나아가 설문조사 응답자 가운데 75%가 교육공무직이란 이유로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지금 ‘학교가 아프다’란 말은 전혀 과하지 않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노조 관계자는 “더는 학교가 이렇게 운영돼선 안 된다. 시교육청은 ‘돈 없다’는 말 대신 ‘고용한 우리가 노동자의 건강권을 책임지겠다’는 태도로 나와야 한다”며 “우리 부산지부는 노동자건강권쟁취투쟁의 달인 4월을 맞아 모든 교육공무직이 아프지 않은 학교를 위해 투쟁할 것을 다시금 다짐한다. 또 시교육청은 오늘 우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모든 교육공무직의 노동 안전문제 해결과 건강권 보장을 위해 사업주로서 책임 있게 나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