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부산시, 초고령사회 도래에 ‘무장애도시’ 전환 시급”

부산지역 무장애시설, 전국 최하위권 기록… 부산연구원 “인식 전환 및 무장애환경 제도 도입 필요”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4.19 11:48:29

부산지역의 장애인, 고령인구 증가 추이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부산이 관광도시로의 메리트 확보를 비롯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어 ‘무장애환경’ 조성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부산연구원(BDI)은 19일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부산시, 무장애 도시로의 전환 시급’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시는 올해 안인 오는 9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어 노인 인구를 배려하는 무장애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2030 월드엑스포를 부산에서 유치할 경우 5000만명 이상이 부산을 방문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때문에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등 관광 약자를 포함한 모두가 여행할 수 있는 무장애 환경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제기했다.

그러나 부산은 앞서 지난 2015년 ‘부산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지원 조례’가 제정됐으나 무장애시설 현황은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공동주택 인증에서 부산은 단 1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윤지영 연구위원은 “무장애 환경은 단순히 장애인, 고령자뿐 아니라 전 인구에 도움이 되는 환경 개선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부산의 무장애환경 조성을 위해 시민 인식 전환, 무장애환경 제도 도입, 무장애환경 서비스 개발 등이 필요하다”며 “부산의 공공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등 무장애환경 제도를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 부산시 건축심의 시 무장애환경 설계를 권고가 아닌 의무사항으로 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부산은 타 도시에 비해 구릉지가 많고 도로 폭이 좁아 보행환경이 전반적으로 나쁜 상황이다. 이러한 특성에 맞는 ‘부산형 무장애환경 매뉴얼’ 개발도 필요하다”며 “대중교통 이용과 공공건물의 이동과 접근이 제약된 사회적 약자를 고려해 접근성 정보를 제공하는 앱 지도 개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의 구·군별 ‘무장애 인증 시설’ 현황 (그래픽=부산연구원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