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들이 인구변화를 고려한 광역교통정책 수립 시 광역 대중교통 환승할인제의 울산시, 경남도까지 확대하는 것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연구원은 15일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인구변화에 대응한 교통정책 재정립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에 부산연구원은 인구변화에 대응한 교통정책 수립을 위해 지난해 11월 1~13일 부산시민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인구변화를 고려한 생활교통 인프라 정책에 대해선 총 5점 만점에 ‘경사지 보행 환경 개선’과 ‘교통약자 주차장 이용 편의 증진’이 각각 3.7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중교통 정책에서는 ▲대중교통 환승 시스템 개선, 확대(3.96점) ▲대중교통수단 차내 시설과 안전성 개선, 고급화(3.87점) ▲교통약자 통행 위한 두리발 택시 등 특별교통수단 확충(3.84점) ▲수요 감응형 대중교통 운영(3.80점) 등의 순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 녹색교통 정책은 ‘친환경차 운행 확대, 충전시설 확충(4.04점)’ ‘녹색교통 진흥지역 도입(3.90점)’ ‘전기 공유자전거 시스템 도입(3.86점)’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통안전 정책은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반 교통안전 서비스 구축(3.90점)’ ‘교통약자 통행 안전 확보(3.87점)’ ‘개인 교통수단 교통안전 대책(3.86점)’ 등의 순으로 큰 관심을 받았다.
이외에도 광역교통 정책은 ‘광역 교통정책 수립 시 광역 대중교통 환승할인제의 울산시, 경남도까지 확대’가 4.05점을 받으며 가장 큰 관심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광역 대중교통 환승센터 확대(4.04점)’ ‘광역도시철도망 확충(3.98점)’ 순으로 많은 관심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부산의 인구는 지난 1995년 388만명을 정점으로 지난 2019년 346만명으로 감소했다. 오는 2030년에는 311만명, 2040년에는 289만명 정도로 감소할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부산의 차량등록 대수는 2019년 기준으로 139만 5200여대로 지난 1995년 대비 2.3배 늘어났으며 연평균 3.5% 늘어났다. 승용차 비율은 지난 1995년 69.2%에서 2019년에는 82.6%로 그 비중이 늘어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원규 선임연구위원은 “인구 변화의 주요인인 인구 감소, 초고령 사회 도래, 1인 가구 증가 등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시의 중장기적인 교통정책을 검토해 현 교통정책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