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내년까지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등 ‘미세먼지 대책’ 강화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및 중소형 선박 LPG 추진시스템 상용화 등으로 미세먼지 저감 추진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2.25 10:16:14

도로 미세먼지 제거차량이 부산지역 도로 정화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부산환경공단 제공)

부산시가 내년까지 노후 경유차에 대한 조기 폐차를 지원하는 등 더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 추진을 위해 ‘2021년도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발표하고 시행할 계획이라고 25일 전했다.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전년인 2019년보다 19% 감소한 17㎍/㎥를 기록했고 ‘좋음’ 일수가 전년대비 56% 늘어났으며 ‘고농도’ 일수는 89% 감소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등 대기오염 배출량 관리 정책 시행과 코로나19 발발에 따른 외출 자제 영향, 잦은 강우 등 기상 여건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시는 올해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지난해보다 73% 증액한 3552억원의 예산을 들여 부산의 특성을 고려한 배출원별 저감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빠른 대응 위한 ‘비상저감조치’ 대응체계 강화 ▲배출량 집중 저감 위한 맞춤 저감 대책 ▲이용계층에 따른 구역별 맞춤형 관리 대책 ▲권역별 예보 강화 위한 국가망 수준의 실시간 측정망 운영 ▲미세먼지 연구개발(R&D), 관련 산업 활성화 등에 나설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대한 특별법’에 따라 내항선의 경우 올해 선박검사일부터 황 함유량이 기존 3.5%에서 0.5% 이하인 연료유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항만 대기질이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시는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운영과 육상전력공급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항만 내 미세먼지 측정망을 늘려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한다. 아울러 수소연료 선박 플랫폼 구축, 중소형 선박 LPG 추진 시스템 상용화 등 미세먼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R&D 지원도 강화해 항만 대기질 개선에 지속해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또 차량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내년까지 ▲총 2만 5000대 차량 대상 ‘매연 저감장치’ 설치 지원 ▲노후 경유차 2만 2000대에 대한 조기 폐차 지원 ▲전기차 1만대 구매 지원 ▲수소차 4600대 구매를 지원한다.

아울러 소규모 사업장에 방지시설 개선 지원, 저녹스 버너 보급, 굴뚝 자동측정기 설치·운영비도 지원한다. 또 미세먼지 불법 배출 감시단을 통해 공단 내 감시체계를 구축해 공단 산하 사업장 관리를 강화하고 대기오염 측정망도 확충해 대기질 분석체계의 정확도도 높일 계획이다.

미세먼지 취약시설이 밀집한 지역에는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해 관리 사업에 총 4억 3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하며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급을 확대해 ‘맞춤형 관리대책’도 이어간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