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2.25 10:16:14
부산시가 내년까지 노후 경유차에 대한 조기 폐차를 지원하는 등 더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 추진을 위해 ‘2021년도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발표하고 시행할 계획이라고 25일 전했다.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전년인 2019년보다 19% 감소한 17㎍/㎥를 기록했고 ‘좋음’ 일수가 전년대비 56% 늘어났으며 ‘고농도’ 일수는 89% 감소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등 대기오염 배출량 관리 정책 시행과 코로나19 발발에 따른 외출 자제 영향, 잦은 강우 등 기상 여건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시는 올해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지난해보다 73% 증액한 3552억원의 예산을 들여 부산의 특성을 고려한 배출원별 저감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빠른 대응 위한 ‘비상저감조치’ 대응체계 강화 ▲배출량 집중 저감 위한 맞춤 저감 대책 ▲이용계층에 따른 구역별 맞춤형 관리 대책 ▲권역별 예보 강화 위한 국가망 수준의 실시간 측정망 운영 ▲미세먼지 연구개발(R&D), 관련 산업 활성화 등에 나설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대한 특별법’에 따라 내항선의 경우 올해 선박검사일부터 황 함유량이 기존 3.5%에서 0.5% 이하인 연료유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항만 대기질이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시는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운영과 육상전력공급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항만 내 미세먼지 측정망을 늘려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한다. 아울러 수소연료 선박 플랫폼 구축, 중소형 선박 LPG 추진 시스템 상용화 등 미세먼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R&D 지원도 강화해 항만 대기질 개선에 지속해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또 차량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내년까지 ▲총 2만 5000대 차량 대상 ‘매연 저감장치’ 설치 지원 ▲노후 경유차 2만 2000대에 대한 조기 폐차 지원 ▲전기차 1만대 구매 지원 ▲수소차 4600대 구매를 지원한다.
아울러 소규모 사업장에 방지시설 개선 지원, 저녹스 버너 보급, 굴뚝 자동측정기 설치·운영비도 지원한다. 또 미세먼지 불법 배출 감시단을 통해 공단 내 감시체계를 구축해 공단 산하 사업장 관리를 강화하고 대기오염 측정망도 확충해 대기질 분석체계의 정확도도 높일 계획이다.
미세먼지 취약시설이 밀집한 지역에는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해 관리 사업에 총 4억 3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하며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급을 확대해 ‘맞춤형 관리대책’도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