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 회장 선출을 놓고 최근 후보 간 ‘단일화’에 합의하는 흐름을 보였으나 최근 장인화 동일철강 회장이 출마를 권유받으며 출마를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져 27년 만의 ‘선거’를 치를 가능성이 열렸다.
이에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에서 상의 회장 선출을 놓고 선거에 들어가게 된다면 부산 상공인 간 ‘분열’과 ‘갈등’이 필히 발생할 일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박수관 와이씨텍 회장이 건강상 문제 등을 이유로 출마 의사를 철회하며 장인화 회장에 출마를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인화 회장은 언론을 통해 조만간 부산상의 선거에 출마 여부 입장을 발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확정된 사안은 현재까진 없으나 부산상의 회장 선출이 ‘선거전’으로 흐름이 바뀔 수도 있단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우려를 표하고 나섰다. 시민연대는 22일 오전 성명서를 내고 “부산상의는 이제 100년을 훨씬 넘었다. 이젠 단순한 ‘회의소’가 아니다”라며 “지금까지의 조사 업무에서 부산 경제정책 생산이 시급하다. 제조업뿐 아니라 특히 IT, 첨단산업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역할론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반드시 이번에 부산상의가 새로 변모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하며 새 회장은 ‘합의추대’ 방식으로 선출해야 한다. 우리는 서울상의 전, 현직 회장이 보여준 역동적인 리더십을 본받아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지역 상공계가 회장 선출을 두고 반 토막이 나며 경쟁 관계에 있던 인사들끼리 서로 견원지간으로 되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소통과 화합, 통합을 이뤄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힘을 모아도 시원찮을 판에 지연, 학연, 혈연을 따지고 업종과 규모를 비교하며 편 가르기를 하는 것은 청산해야 할 부산 상공계의 적폐”라고 주장했다.
한편 같은 날 또 다른 시민사회단체인 부산경남미래정책도 성명을 내고 부산상의 회장 선출의 ‘제3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미래정책은 “부산상의가 규정대로 의원 선거를 하되 현대 의회처럼 의원에 제 역할을 부여한 뒤 상의 회장을 직선으로 선출하는 ‘제3의 길’을 찾아야 과도한 갈등을 불러오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래정책 관계자는 “우리가 제시하는 ‘제3의 길’은 30~40세대 기업인과 신산업 분야 경제인의 부회장 전진 배치와 ‘대납이 일상화된 구조’ 등을 혁파해야 하는 것이다. 또 부산상의에 신규 회사가 늘어나기 위해 헌법에서 규정하는 평등 선거 원칙에 따라 ‘기업별 1표 제도’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부산상의 의원 선거는 회비를 낸 비중대로 표를 가져가는 구조로 타 회사 표를 가져와아 자신이 당선되는 복잡한 구조로 돼 있다. 이를 개혁하지 않고선 부산 경제와 신산업 분야 경제인과 30~40세대 경제인들이 부산상의에 진입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