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가 K푸드에 합류해 수출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대 유망시장으로 홍콩이 꼽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8일 발표한 ‘유망품목 AI 리포트 – 닭고기 가공육’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닭고기 가공육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9.5% 늘어난 2100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적으로 가정 간편식(HMR)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한류의 영향으로 삼계탕 간편식, 닭가슴살 등의 수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인공지능(AI)이 주요 58개국의 국내총생산(GDP), 인구, 수입액, 규제 등 9개 지표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닭고기 가공육의 수출 잠재력이 가장 높은 시장은 홍콩(88.9점)이었다. 이어 싱가포르(88.6점), 일본(88.2점), 미국(86.8점) 순이었다.
홍콩은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 닭고기 가공육 수출이 두 번째로 많은 국가로 2020년 전년 대비 162.4% 증가한 496만 달러를 수출했다. 한국산 점유율도 2016년 0.1%에서 2019년 0.4%로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닭고기 가공육의 기본세율이 0%인 것도 강점으로 봤다. 최근 한류 스타들의 닭가슴살 다이어트가 홍콩 언론매체에 소개되며 한국산 닭고기에 대한 시장 선호도가 상승한 것도 긍정적인 요소로 꼽혔다.
무역협회 전보희 수석연구원은 “최근 닭고기 가공육의 수출 증가는 현지 맞춤형 제품 출시, 한류스타 활용 디지털 마케팅 등 노력이 결실을 거둔 것”이라며 “가정간편식 수요 증가, 한류 확산 등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는 수출 지원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