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독경제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도 구독 비즈니스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5일 발표한 ‘글로벌 구독경제 현황과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 따르면 세계 구독 기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18년 132억 달러에서 연평균 68%씩 성장해 오는 2025년 4782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구독 비즈니스는 일정 금액을 내고 정기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즈니스다.
멤버십형 구독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가입자는 2015년 5400만명에서 2019년 1억1200만명으로 2배 이상 늘었고, 일본의 구독경제 시장도 2017년 8720억엔(약 80억 달러)에서 2019년 1조1440억엔(105억 달러)로 커졌다. 우리나라도 작년 기준 콘텐츠, 생필품, 화장품 등 구독 비즈니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70%를 상회할 정도로 구독경제가 확산되고 있다.
보고서는 성공적인 구독경제 모델을 확보하기 위한 요소로 ▲데이터 기반 정보통신(IT) 기술 도입 및 서비스 고도화 ▲새로운 경험과 가치 창출 ▲적정한 가격 설정 등을 꼽았다.
무역협회 심혜정 수석연구원은 “구독 비즈니스는 제품 판매와 서비스를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과 동시에 고정고객을 확보해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어 글로벌 기업들도 속속 도입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은 경쟁력 있는 구독경제 모델 개발에 지속 노력하고 정부도 규제 완화, 수출지원 확대 등으로 구독경제 생태계 활성화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