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지난해 약수터 수질 조사 결과 ‘부적합률 16.8%’

부적합률, 6년 전보다 절반 넘게 줄어… 미생물 오염 방지하는 살균시설 설치한 약수터의 수질 적합률, 93%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2.10 15:01:27

부산진구 가야산에 있는 약수터 모습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 산하 보건환경연구원이 ‘2020 먹는 물 공동시설(약수터) 수질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한 가운데 부산지역 약수터 중 16.8%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시민이 공공재로 이용하는 약수터의 안전성 확보와 효율적 수질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수질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에서 관리되는 약수터 시설 전체 151곳의 수질 조사 결과, 총 911건 가운데 153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부적합률 16.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4년 기록한 부적합률 37.6%에 비해 50% 이상 감소한 수치로 6년 사이에 부산지역 약수터 수질이 개선됐음을 보여줬다.

부적합으로 나타난 항목으로는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일반세균 순으로 대체로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미생물 살균시설’을 설치한 약수터의 수질 적합률은 93%로 해당 시설의 설치가 약수터 오염 방지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일부 약수터의 경우 전원 공급 장치 고장, 자외선 살균 램프 고장 등 관리 소홀로 부적합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구·군별 현황으로는 서구, 동구, 영도구, 연제구, 동래구, 수영구는 모두 약수터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미생물 살균시설 설치율이 낮은 사상구, 부산진구, 남구 기장군은 부적합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시설 설치가 힘든 약수터의 경우 오염원 관리, 저류조 청소 등 관리가 요구된다.

 

부산지역 약수터에서 검출된 전체 미생물 비중 (그래픽=부산시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