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2.08 15:24:58
지난해 시작된 코로나19 사태 이후 통상환경 변화에 부산이 적극 대응하기 위해 부산시 통상정책에 대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강화된 조직이 필요하단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연구원은 8일 위와 같은 내용으로 ‘코로나19 이후 부산의 무역구조 평가와 대응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4% 감소한 가운데 부산은 전년동기대비 18.7%로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한 원인으로 기존 수출 주력 품목의 수출량 감소, 신성장 품목 수출 증가세에 역행하는 현실, 코로나19 수혜 품목 부재 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디지털 경제의 부상, 산업구조 혁신 재편, 지방정부의 적극적 시장 개입 등 통상환경이 변화하고 있어 부산시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올해 부산이 무역통상 변화 대응을 위해 ▲비대면 해외 마케팅 지원 ▲고부가가치 품목 전환 ▲채산성 악화 대비 ▲특혜관세 적극 활용 ▲비관세조치 문제 해결 ▲국제통상 담당 조직 강화 ▲신성장 품목 육성 등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장정재 연구위원은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기조 속에 부산 통상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조직이 필요하다”며 “현재 부산시 일자리경제실 산하 투자통상과 시스템은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 대비와 대응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부산시 경제부시장 직속의 조직체계 정비로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장 연구위원은 “보호무역 기조에서 수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하는 협의체가 필요하다. ‘부산통상촉진위원회’는 비대면 해외 마케팅의 특성을 고려한 수출 지원과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대응과제 발굴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19 영향에서도 바이오 헬스, 차세대반도체 등의 수출은 약진하고 있다. 미국의 친환경 산업, 중국의 ICT 산업 육성 계획을 겨냥한 부산 신성장 품목 발굴에도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