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무역통상 컨트롤타워 역할 할 조직 필요” 제기

디지털 경제 급부상에 따른 산업구조 혁신 재편 등 통상환경 변화로 인한 조직 필요성 제기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2.08 15:24:58

전국과 부산의 월별 수출증감률 추이 그래프 (자료제공=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지난해 시작된 코로나19 사태 이후 통상환경 변화에 부산이 적극 대응하기 위해 부산시 통상정책에 대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강화된 조직이 필요하단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연구원은 8일 위와 같은 내용으로 ‘코로나19 이후 부산의 무역구조 평가와 대응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4% 감소한 가운데 부산은 전년동기대비 18.7%로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한 원인으로 기존 수출 주력 품목의 수출량 감소, 신성장 품목 수출 증가세에 역행하는 현실, 코로나19 수혜 품목 부재 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디지털 경제의 부상, 산업구조 혁신 재편, 지방정부의 적극적 시장 개입 등 통상환경이 변화하고 있어 부산시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올해 부산이 무역통상 변화 대응을 위해 ▲비대면 해외 마케팅 지원 ▲고부가가치 품목 전환 ▲채산성 악화 대비 ▲특혜관세 적극 활용 ▲비관세조치 문제 해결 ▲국제통상 담당 조직 강화 ▲신성장 품목 육성 등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장정재 연구위원은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기조 속에 부산 통상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조직이 필요하다”며 “현재 부산시 일자리경제실 산하 투자통상과 시스템은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 대비와 대응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부산시 경제부시장 직속의 조직체계 정비로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장 연구위원은 “보호무역 기조에서 수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하는 협의체가 필요하다. ‘부산통상촉진위원회’는 비대면 해외 마케팅의 특성을 고려한 수출 지원과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대응과제 발굴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19 영향에서도 바이오 헬스, 차세대반도체 등의 수출은 약진하고 있다. 미국의 친환경 산업, 중국의 ICT 산업 육성 계획을 겨냥한 부산 신성장 품목 발굴에도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외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온라인 홈쇼핑 매체) 현황 (그래픽=부산연구원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