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교육청, 청렴도 수치 하락에 ‘고강도 대책’ 마련

김석준 시교육감 주재 ‘청렴추진기획단’ 회의서 청렴도 하락 원인 철저 분석… 부패 유발 원인 제거 등 집중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2.08 10:43:08

부산시교육청 (사진=변옥환 기자)

부산시교육청의 지난해 청렴도 수치가 하락한 가운데 시교육청이 이에 대한 고강도 대책을 세우고 ‘청렴도 최고 등급’ 달성을 목표로 각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달 22일 김석준 시교육감 주재로 ‘청렴추진기획단 회의’를 열어 지난해 청렴도 하락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1 청렴도 향상 종합계획’을 세워 전면 시행에 들어간다.

이번 종합계획은 ▲부패 유발 요인 제거, 부패·공익신고 활성화 ▲부패 취약 분야 제도 개선 ▲청렴 역량 강화 ▲청렴한 공직문화 조성 총 4개 추진전략과 21개 추진과제로 구성했다.

먼저 ‘부패 유발 요인 제거, 부패·공익신고 활성화’ 전략은 부패 고위험 영역에 대한 점검 강화를 위해 특정감사를 확대 시행하고 부패 발생 개연성이 있는 사업에 대한 핀셋 감찰을 추진한다. 또 부패 신고 활성화를 위해 교직원, 학부모, 업무 관계자, 시민 등을 대상으로 ‘부산시교육청 공익제보 처리, 제보자 보호, 보상 등에 관한 조례’와 ‘비리고발센터’ 등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부패 취약 분야 제도 개선’ 전략으로 시설공사 업체의 공사 서류 작성, 제출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공사 서류 제출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급하고 소규모 관급공사의 경우 적절한 예정가로 진행하도록 공사 설계기준을 마련해 시행하는 것이다. 또 학교 급식 식재료 구매 시 사용되는 기초가격을 표준화하기 위해 물가조사 전문기관이 주관하는 학교 급식 식재료 시장조사를 시행해 급식 업무의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청렴 역량 강화’ 전략으로는 부패 행위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 ‘부산시교육청 공무원 행동강령’ 가운데 금품 등 수수 금지 위반 징계양정 기준을 기존 ‘100만원 이상’에서 ‘10만원 이상’으로 대폭 강화한다. 이어 변하는 행정환경에 맞는 적절한 감사 처분을 위해 ‘감사결과 지적사항 처분기준’을 개정하고 ‘국민권익위 주관 청렴 컨설팅’에도 참여해 객관적인 역량을 진단받을 예정이다.

‘청렴한 공직문화 조성’ 전략에는 시교육감이 주재하는 ‘청렴추진기획단 회의’를 연 2회 이상 열어 시교육청 간부, 학교장, 학부모, 시민단체의 의견을 청렴 정책 방향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내부 구성원 설문조사 등으로 내부 소통을 활성화하고 ‘부산시청렴사회민-관협의회’ ‘부산투명사회실천민-관네트워크’ 등 지역과 함께 청렴 문화 정착을 위한 협업체계도 꾸린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