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는 3일 경주 월성원자력본부를 방문해 삼중수소 검출과 관련해 철저한 원인규명과 재발 방지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월성원전은 2019년 4월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하부 지하 배수관로에서 배출관리기준인 리터당 4만 베크렐을 훨씬 넘어서는 71만 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돼 논란이 되고 있다.
위원들은 이날 현장방문에서 월성원자력본부 측에 “이번 삼중수소 문제와 관련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민안전과 원전안전에 대한 주민 불신이다”고 말하면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철저히 원인을 밝혀내고, 관련 정보를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 달라”고 주문했다.
현재까지 월성원전 지하수 내 삼중수소 검출은 정확한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상태로, 향후 민간조사단 구성 등을 통해 객관적으로 조사를 실시해 원인을 밝힐 예정이다.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 박차양(경주) 위원장은 “이번 삼중수소 논란을 계기로 원자력 운영과 안전, 관리 등 전반에 대한 조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향후 민간조사단 구성 시 원전 관련 기관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철저한 조사로 원자력 안전에 대한 도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데 특별위원회가 중심이 돼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의회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는 도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관리 체계 상시점검과 원자력 안전에 대한 도민 불안감 해소, 원전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굴ㆍ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구성됐다.
특별위원회는 혁신원자력 연구단지 조성, 중수로 해체기술원 설립 등 경북도의 원자력 관련 정책사업의 추진상황 점검과 ‘월성1호기 조기폐쇄 결정의 타당성 점검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한 결의안’ 채택 등 경북도의 원자력 안전과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