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2.03 16:34:04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현대화 사업이 오랜 표류 끝에 방향을 잡아가는 듯 보였으나 또다시 난기류에 휩싸였다. 지난달 말 진행된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 협상에서 대주주인 수협 5곳 가운데 2곳이 반대해 좌초된 것이다.
이에 시민단체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항사모)이 어시장 공영화 난항에 대해 3일 성명을 내고 “현대화 사업은 현 5개 조합체제로 진행, 공영화 사업은 현 5개 조합이 주체가 되며 부산시가 지원하는 ‘민간 주도 준공영 체제’로 해결하라”고 제안하고 나섰다.
시민단체 항사모는 성명을 통해 “부산공동어시장 5개 조합공동법인(수협)과 부산시의 입장차로 공영화 사업 자체가 파기될 경우 현대화에 책정된 국비 1200억원의 향후 확보도 장담할 수 없다”며 “지난해 말에는 부산시가 미리 확보해 뒀던 관련 국비 151억원까지 3년 만에 반납하게 되는 허탈한 일까지 빚어졌다니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공영화 사업의 경우 현 5개 조합의 주체로 부산시가 지원하는 ‘준공영 체제’로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들은 “한국 최대의 부산공동어시장의 경매, 위판 시설은 너무 낙후되고 위생적으로도 매우 후진적이다. 매우 부끄러운 일”이라며 “지난해 말 151억원이란 국비를 반납했는데 그간 부산시민, 정치권의 노력으로 확보한 1200여억원도 반납해야 할 위기에 놓였다. 언제까지 그들만의 다툼으로 시간 낭비는 물론 국비까지 반납할 위기에 놓인 현 상황을 방치할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 항사모 관계자는 “부산공동어시장은 시민의 중요한 먹거리이자 수산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급하며 대단히 중요한 자원이다. 오는 4월 신임 부산시장 취임까지 기다릴 시간이 없기에 현 시장 권한대행이 결단해야 한다”며 “이외에 선진 수산국에서 운영하는 ‘소비자 수산도매시장’ 개설도 시급한 시국이다. 이에 향후 어시장 공영화·현대화를 논의하기 위해 부산시, 시의회, 공동어시장, 부산수산정책포럼, 학계,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공동어시장 미래발전 위원회(가칭)’ 구성을 제안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