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북도, 지방소멸 위기에 인구감소 완화와 재도약에 ‘박차’

경북人포럼 구성, 중장기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  

cnbnews 이경미기자 |  2021.02.03 11:45:48

인구대토론회 퍼포먼스. (사진=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연초부터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가 현실화함에 따라 장기적인 마스터플랜 수립으로 인구감소 완화와 재도약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인구가 6만여 명이 줄어들었고 이미 2016년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추월하면서 자연감소가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청년 인구 수(19~39세)는 2019년 대비 3만여 명이 감소하는 등 2013년 이후 아동수보다 노인 수가 많은 역피라미드 인구구조가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으로 사상 처음 인구가 2만여 명 감소했고, 합계출산율은 2020년 3분기 기준 0.84명, 전국 출생자 수는 2017년 이후 3년 만에 30만명 선이 붕괴되는 등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도는 지난해 12월 정부의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발표와 함께 정책 방향이 개인 삶의 질 향상과 청년층, 부모의 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으로 전환했다.

부모와 아이가 행복한 젊은 경북 구현을 목표로 중장기적인 도 인구정책 기본계획(2022~2026년)도 수립할 계획이다.

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올해 경북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인구감소 완화와 도민 체감형 인구정책 발굴을 위해 도 인구정책 대토론회 경북인(人) 포럼을 구성ㆍ운영하고, 연구기관 및 대학과의 상시 협력체계를 구축해 경북 인구정책 방향 및 지역 맞춤형 신규과제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미래세대를 이끌어갈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구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결혼, 육아, 양성평등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 함양을 위해 인구교육도 확대한다.

이 외에도 도민이 직접 참여해 정책을 제안하는 대토론회를 개최할 뿐만 아니라 인구정책 TF를 가동해 부서 간 협업을 통한 저출생·지방소멸·인구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이원경 경북도 아이여성행복국장은 “저출생 및 인구감소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는 없지만,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므로 중앙과 지방이 함께 한걸음씩 나아가야 한다”며“중장기적인 내실있는 정책 추진으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경북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