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1.21 11:49:23
지난 19일 정부에서 ‘지자체-학교 협력 돌봄 확대 추진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이 지난 20일 입장문을 내고 협력 돌봄 계획에 대한 환영 의사를 밝혔다.
이 정부 계획은 초등학교가 교실 등 돌봄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면 전국 지자체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내년까지 돌봄 수혜 인원을 크게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석준 시교육감은 입장문을 통해 “돌봄 문제는 학부모들이 마음 놓고 아이를 키우고 아이가 안전하게 돌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과제”라며 “우리 시교육청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이미 지난 2018년부터 지자체-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을 도입해 돌봄 확대를 추진해 왔다”고 강조했다.
김석준 시교육감이 언급한 부산시교육청의 돌봄 모델은 ‘부산형 돌봄·자람터’다. 이는 이전까지 운영하던 ‘초등 돌봄교실’과 신설한 ‘거점형 자람터’ ‘우리동네 자람터’ 3가지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김 교육감은 “도입 첫해였던 지난 2018년에는 ‘거점형 자람터’ 두 곳과 ‘우리동네 자람터’ 4곳을 운영했었으며 지난해에는 ‘거점형 자람터’ 두 곳과 ‘우리동네 자람터’ 7곳을 확대 운영했다”며 “그간 운영해온바, 학부모님들과 아이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새로운 돌봄 모델이 시교육청과 학교, 지자체가 협력해 돌봄 문제를 해소하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 저소득 가정, 맞벌이 가정이 돌봄 걱정 없이 아이를 낳고 키울 사회적 돌봄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매우 시급한 국가적 과제”라며 “물론 정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등이 제기하는 우려와 문제점에 대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지혜롭게 풀어가야 한다. 교육청과 학교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지자체가 적극 협력해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길 소망한다”고 바람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