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1.11 15:46:07
부산지역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항만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선 항만시설의 친환경 인프라 구축과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항만구역 대응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11일 위와 같은 내용으로 ‘부산지역 항만 미세먼지 이슈와 저감 방안’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항만 하역장비, 화물차량, 선박에서 배출되는 가스상 오염물질의 2차 생성물질이 부산지역의 미세먼지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전체 미세먼지 가운데 2차 생성 미세먼지의 비중이 50%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2차 미세먼지 생성 원인이 되는 ‘가스상 오염물질’은 항만 각 시설과 화물차량, 선박에서 다량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지난 2019년 한 해를 기준으로 ▲항만시설 질소산화물 4735톤, 휘발성유기화합물 449톤 ▲항만 화물차량 질소산화물 3만 9721톤, 휘발성유기화합물 1829톤 ▲선박에서의 질소산화물 2만 8000여톤, 황산화물 7000여톤, 휘발성유기화합물 1000여톤이 배출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허종배 연구위원은 “항만시설, 화물차량, 선박에서 기인한 2차 생성 미세먼지 증가가 부산의 조기 사망자 발생률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단기 방안으로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출퇴근 시간대 화물차량 우회, 통행 제한구역 설정, 친환경 장비 외 사용 제한 조치 등이 있다”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허 연구위원은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항만지역 노후 장비의 운행을 중단해 2차 생성 원인 가스상 오염물질의 배출을 적극 차단할 필요가 있다. 2006년 이후 장비를 포함한 항만 장비의 친환경 설비로의 빠른 교체를 통해 미세먼지와 가스상 오염물질을 단기간에 줄여나가야 할 것”이라며 “또 항만, 선박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측정 네트워크를 고도화해야 한다. 항만시설과 하역장비의 인접 지역에 대기오염물질 실시간 농도 모니터링 사이트를 구축하고 장기간 측정 자료를 확보해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장기 항만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각종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보고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철도와 운하 등을 활용한 컨테이너 운송 방안을 마련하고 화물차량의 항만지역 출입을 원천 봉쇄해 오염물질 배출을 제로화하는 그린포트 전략도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