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사상 첫 ‘낙동강 수질안전센터’ 매리취수장에 건립

1,4-다이옥산 등 미량 유해물질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국가기관 건립 확정돼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1.07 10:14:55

‘국가 낙동강 수질안전센터(가칭)’의 입지 분석도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환경부와 긴밀한 협의 끝에 국립환경과학원 소속 전문 미량 유해물질 연구 국가기관인 ‘국가 낙동강 수질안전센터(가칭)’를 매리취수장 내에 건립하기로 협의했다고 7일 발표했다.

당초 환경부는 경북도 왜관에 설치된 미량 유해물질 센터의 운영 결과 등을 종합 검토해 입지를 선정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부산시의 설득과 함께 효율성, 입지 여건 등을 고려했을 때 매리취수장에 수질안전센터를 건립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지난해 5월 양산천 유역에서 ‘1,4-다이옥산’이 물금취수장에서 발견되자 부산시는 미량 유해물질 등을 연구하는 전문 국가 연구기관이 부산과 인근 양산 등에 필요하다고 강조해온 바 있다.

이번 수질안전센터 건립을 위해 시는 매리취수장 내 사택 철거부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환경부는 국비 70억원을 투자해 경남도 김해시 상동면 매리 427번지 일대 2033㎡ 부지에 해당 수질안전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매리 지역에 수질안전센터가 설치되면 경북 왜관 센터와 담당 지역을 나누게 될 것으로 보인다. 중상류는 왜관 센터가, 하류는 매리 센터가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시 관계자는 전망했다.

변성완 시장 권한대행은 “이번에 매리에 미량 유해물질을 전문 연구하고 분석하는 국가기관이 설립돼 운영되면 우리 시는 물론 김해시, 양산시, 울산시 등 인근 지역 취수원도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수질연구소와 지역대학의 연구기능을 결합하는 방안을 강구해 향후 매리 수질안전센터가 명실상부 세계적인 미량 유해물질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매리 지역은 그간 수질연구소 등이 위치해 지역대학의 환경연구 인프라와 시 환경연구원을 통한 수질연구 기능 간 유기적 정보 교환이 가능함을 강조해왔다. 또 그간 국가기관의 지방 설치 시 문제가 됐던 직원의 생활 여건과 교육여건 또한 타지역에 비해 우수하다고 역설해온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