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완역 태극학보’ 전 5권 발간

대한제국기 일본 유학생 기관지 ‘태극학보’ 국한문체→한국어 번역 완성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0.11.19 11:31:56

‘완역 태극학보’ 전권 (사진=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가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일본 유학생 단체 ‘태극학회’의 기관지인 ‘태극학보’(총 26호) 완역본을 출간했다.

이를 통해 우리 역사 속 굴곡을 오롯이 담고 있는 대한제국 시기의 젊은 지식인들이 가졌던 사유의 깊이와 넓이를 공감하며 20세기 초 다양한 근대지식의 종합적 양상을 현대 한국인들이 더 가깝고 쉽게 파악할 수 있을 전망이다.

부산대 점필재연구소의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의 현대어 번역 사업팀’은 20세기 초 일본 유학생 단체 ‘태극학회’의 기관지인 ‘태극학보’(총 26호)를 완역해 ‘완역 태극학보’ 전 5권(보고사, 2020.11.10.)을 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권정원·신재식·신지연·최진호 등 점필재연구소 전임연구원 및 다수의 공동연구원이 번역을 완수했다.

‘태극학보’는 일본 유학생 단체 ‘태극학회’의 기관지로, 1906년 8월부터 1908년 12월까지 2년여에 걸쳐 간행됐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 가운데 가장 장기간 발행된 것으로, 총 26호가 나와 있다.

이 잡지는 다양한 분과학문을 통해 국민국가를 구상하고 문예로써 개인의 사색과 감정을 표현한, 20세기 한국을 종합적으로 구상한 최초의 대중매체이다. 연구팀은 ‘태극학보’를 통해 100여 년 전 대한제국 사람들의 생각과 삶을 오늘의 우리가 생생하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는 근대계몽기라 불리던 시기로, 수많은 서적과 잡지, 신문이 폭발적으로 근대적 사유를 쏟아냈다. 이 시기의 인쇄물을 이해하는 것은 현재의 한국사와 한국인을 이해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인은 물론 연구자들조차 이 시기 인쇄물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것이 현실인데, 한문에 가까운 국한문체로 이뤄져 있어 한문을 해독할 수 없는 사람에게 이 자료들은 풀 수 없는 암호와 같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국한문체 잡지의 현대어 작업이 근대계몽기 인쇄물에 대한 해독을 용이하게 해 이 시기 각 분과학문의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한제국기 잡지 번역팀의 책임자인 강명관 교수는 특히 ‘태극학보’가 일본 유학생들이 발간한 잡지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일본은 당시 한국이 경험할 수 있었던 거의 유일한 근대문명의 본거지였고, 이 유학생들은 근대지식 수용의 첨병이었던 셈이다. 이 번역서를 통해 우리는 20세기 초에 일본을 직접 경험한 젊은 지식인들이 공급했던 다양한 지식과 계몽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태극학보’ 번역을 수행한 부산대 점필재연구소는 근대전환기 저작물의 번역과 연구를 지속해 온 한국학계의 대표적 연구기관이다.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전 3권)(소명출판, 2014), ‘한국 고전번역자료 편역집’(전 2권)(점필재, 2017), ‘완역 조양보’(전 2권)(보고사, 2019), ‘원문교감 조양보’(전 2권)(보고사, 2019) 등 번역서와 ‘고전, 고전번역, 문화번역’(2010), ‘동아시아, 근대를 번역하다’(2013), ‘투르게네프, 동아시아를 횡단하다’(2017), ‘한국 고전번역사의 전개와 지평’(2017) 등 연구서를 출간했다.

이러한 성과의 연장선에서 이번 ‘완역 태극학보’(전 5권)(보고사, 2020)가 출간됐고, 앞으로 ‘완역 서우’(전 3권), ‘완역 소년한반도’(1권), ‘완역 한양보’(1권)가 추가로 출간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