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창원의 가야유적 현황과 보존활용 방향’ 학술대회 성료

창원대박물관과 창원시의회 창원시 역사, 문화연구회 개최…‘창원의 가야유적 현황 및 보존활용 방향’ 주제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0.11.18 17:21:46

18일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열린 ‘창원의 가야유적 현황 및 보존활용 방향’ 학술대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창원대 제공)

창원대학교는 18일 창원시의회 창원시 역사, 문화연구회와 창원대박물관이 ‘창원의 가야유적’에 대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학술대회는 ‘창원의 가야유적 현황 및 보존활용 방향’을 주제로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열렸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한 창원의 가야유적에 대한 보존 및 활용방안은 창원시 문화재 정책 제안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이날 △남재우 창원대 사학과 교수 ‘창원 시민과 함께 하는 가야 이야기’ △김주용 창원대박물관 학예실장 ‘창원의 가야유적 조사 및 연구 현황’ △한상우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조사위원 ‘창원지역 가야유적의 보존 및 활용 방안’ △조신규 함안군청 가야사담당주사 ‘발굴유적의 보존과 문화재 지정’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발표에 이어 남재우 교수를 좌장으로 최경규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조사단장, 최혜정 창원시청 학예연구사, 김수환 경남도청 학예연구사가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돼 깊이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이윤상 창원대박물관장은 “창원지역은 선진문물의 수용에 앞섰던 창원 다호리유적, 당시 가야 사람들의 생활유적이 확인된 중동·도계동유적, 제철유적이 확인된 봉림동유적, 아라가야 무덤군 중에서 최대 규모로 유물·유구가 확인된 마산 현동유적, 전국 최대규모의 목곽묘군이 확인된 진해 석동유적 등 역사적으로 큰 가치를 가진 곳”이라며 “이번 학술대회가 창원의 역사를 정비하고 역사문화도시 창원의 힘을 기르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